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Editorial Board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Vol. 31 , No. 3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1, No. 3, pp. 83-90
Abbreviation: JSLHD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9 Jul 2022
Received 27 Jun 2022 Revised 04 Jul 2022 Accepted 31 Jul 2022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2.31.3.083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1 ; 신혜정2, *
1광주여자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2광주여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Learner’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Hee Jung Park1 ; Hye Jung Shin2, *
1Dep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Kwangju Women University, Professor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wangju Women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Hye Jung Shin, PhD E-mail : hjshin@kwu.ac.kr


Copyright 2022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블렌디드러닝 수업 참여에 동의한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13문항), 자기주도학습 능력(20문항), 자기효능감(28문항)을 조사하였다. SPSS for window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대응표본 t-test, Pearson’s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블렌디드러닝 수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3.88이었다.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가장 높은 학습만족도(4.15점) 문항은 ‘블렌디드러닝은 수업 특성에 맞게 적용되었다’이고, 가장 낮은 학습만족도(2.58점) 문항은 ‘온라인상에서 교수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오프라인상에서보다 더 편리하였다’였다. 이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만 적용된 수업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을 더 선호함을 의미한다. 둘째,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7.198, p<.01). 셋째,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자기효능감은 사후검사가 사전검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t=8.334, p<.01).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소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넷째,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796, p<.01).

결론:

블렌디드러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블렌디드러닝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at universities on the class satisfac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elf-efficac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ophomores i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Data were collected on blended learning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sample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Result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blended learning class was 3.88. The item with the highest score (4.15) in class satisfaction was ‘Blended learn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lass characteristics.’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2.58) in class satisfaction was ‘It was more convenient to ask questions to the instructor online than offline.’ It was found that subjects preferred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over those that online or offline learning exclusively. Second, after applying blend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improved by a statistically-significant measure. Third, self-efficacy wa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also showed a statistically-significant improve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articula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It can be seen that blended learning improve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s that it can further affect self-efficacy. Based o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blended learning was discussed.


Keywords: Blended learning,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키워드: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자기효능감

Ⅰ. 서 론

언어재활사는 말ㆍ언어장애인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말ㆍ언어장애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을 비교ㆍ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언어치료학과는 핵심역량을 갖춘 언어재활사를 양성하기 위해 타 전공에 비해 높은 비중으로 필수 교과목을 교육과정에 편성ㆍ운영하고 있다. 제한된 시간에 다양한 학문적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언어치료 관련 전문지식이 매해 급변하고 있으므로,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은 대학 졸업 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이란 학습 주도권이 학습자에게 있는 것으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 설정 및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실행ㆍ평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Yang & Cho, 2009).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Song et al., 2012). 자기주도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 자신감, 자기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필요하다(Yu et al., 2013).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신념으로(Park, 2022),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 유능성을 의미한다(Choi & Lee, 2010).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과제난이도는 자신을 통제하고 도전 과제를 선택하는 과정이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자기조절 기제 수행에 대한 기대의 정도를 의미하며, 자신감은 자신의 학습능력에 대한 신념의 정도를 말한다(Kim & Park, 2001). 자기효능감은 향상될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주어진 상황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수행하는 과제에 대한 불안감이 낮다(Bandura, 1977).

교육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 강의식 교육이나 온라인 교육만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반복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강조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일방적 온라인 강의 제공이나 콘텐츠를 클릭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모색되었다(Kim, 2010). 블렌디드러닝은 사이버 대학교를 중심으로 온라인 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의도로 발전(Kwon et al., 2015)되었으나, 최근 코로나-19로 인하여 오프라인 대학들에서도 온ㆍ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 블렌디드러닝이 활성화되고 있다. 블렌디드러닝은 온라인 수업을 통해 시공간적인 제약 없이 자유롭게 학습을 반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등이 어렵다는 온라인 수업의 제한점을 오프라인 수업으로 보완한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이다(Kim, 2017; Lee & Noh, 2021). 블렌디드러닝은 온ㆍ오프라인 환경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Park, 2022) 학습자 입장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고 상호작용 향상 및 성취수준 향상에 효과적인 학습법이다(Woo et al., 2009).

2000년대에 접어들어 대학에서는 온라인 교육과 전통적 면대면 교육을 접목시킨 블렌디드러닝 수업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DeLacey와 Leonard(2002)는 온라인 학습 환경과 전통적 학습환경을 접목시켰을 때 학습효과, 상호작용과 만족도가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한 선행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연구들은 온ㆍ오프라인 혼합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Kim, 2017; Oh, 2015), 수업태도(Kim, 2010)가 향상되었고,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으로써(Kim & Lee, 2006; Suh & Han, 2022) 학습몰입이 향상되었다고(Lim & Yeom, 2020) 보고하였다. Cha와 Kang(2020)Park(2022) 역시 간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블렌디드러닝은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블렌디드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대상자는 ○○광역시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들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학생들이었다. 대상자들은 총 30명으로 모두 여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21.23(SD=2.432)세였다.

2. 검사 도구
1)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Baek(2003)Choi와 Lee(2010)가 활용한 연구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였다. 평가도구는 총 13문항으로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866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2)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은 Kim과 Park(2001)에 의해 개발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평가 도구가 활용되었다.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는 총 28문항으로, 3개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은 각각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자신감은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Cronbach’s α는 .84~.87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3) 자기주도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Han(2008)의 연구에서 활용된 평가 도구를 활용하였다. 평가도구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주도학습 능력 측정도구 문항 간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04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3. 자료처리

SPSS 윈도우용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는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고,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블렌디드러닝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ㆍ오프라인 병행 수업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는 Table 1에 제시되었다. ‘블렌디드러닝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평균 3.88로 나타났다. 학업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혼합형 강의가 수업 특성에 맞게 적용되었다’로 평균 4.15였고, 이어 ‘온라인상에서의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설명이 수업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병행수업을 통한 학습이 흥미로웠다’는 문항이 각각 4.08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만족도는 2.58로 문항 ‘온라인상에서만 진행되는 수업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와 ‘온라인상에서 교수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오프라인상에서 보다 더 편리하였다’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온라인 수업만으로 수업이 진행되기를 원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Table 1.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blended learning satisfaction
No Item Mean SD
1 Internet access for taking online classes was comfortable. 3.88 .993
2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activities such as bulletin boards, question-and-answer sessions, and discussion rooms in online class activities. 3.65 1.056
3 E-mail, SNS, and note were actively used for communication. 3.62 1.061
4 The blended learning(online and offline classes) was satisfactory 3.88 .909
5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nduct classes only online. 2.58 .945
6 Blended learning (online and offline classes)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4.15 .784
7 The explanation of the online class method helped me understand the class method. 4.08 .845
8 Traditional classes rather than online classes were helpful in acquiring basic knowledge. 3.42 .987
9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re more helpful than offline discussion activities. 2.77 1.032
10 Online team activity helped improve knowledge when performing group assignments 3.69 .618
11 Offline feedbacks from teachers were more effective 3.85 1.047
12 It was more convenient to ask questions to the classes online than offline. 2.58 .902
13 Blended learning through online and offline classes was interesting. 4.08 .935

2. 블렌디드러닝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블렌디드러닝 수업 전ㆍ후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과 같다. 수업 전ㆍ후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t=7.198, p<.01).

Table 2.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Variables Pre-test Post-test t
M (SD) M (S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3.39 ( .34) 3.87 ( .42) 7.198**
**p<.01

3. 블렌디드러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Tabl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t=8.334, p<.01),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t=4.980, p<.01), 자기조절효능감(t=5.475, p<.01), 자신감(t=8.154, p<.01)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able 3. 
Comparison of self-efficacy
Variables Pre-test Post-test t
M (SD) M (SD)
Task difficulty preference 2.95 ( .31) 3.13 ( .35) 4.980**
Self-regulatory efficacy 3.21 ( .40) 3.66 ( .58) 5.475**
Self-confidence 2.81 ( .38) 3.37 ( .34) 8.154**
Total self-efficacy 2.99 ( .27) 3.38 ( .34) 8.334**
**p<.01

4.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D TD SR SC TSE
SE TD .775**
SR .713** .624**
SC .369* .232 .391*
TSE .796** .777** .914** .636**
BS .403* .206 .498** .184 .415**
Note. SE=self-efficacy; TD=task difficulty preference; SR=self-regulatory efficacy; SC=self-confidence; SD=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SE=total self-efficacy; BS=blended learning class satisfaction.
*p<.05, **p<.01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자기효능감(r=.796, p<.01) 및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r=.403, p<.0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과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r=.415, p<.01). 자기효능감 하위요인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 능력(r=.713, p<.01) 과 학습만족도(r=.498, p<.01)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과제난이도 선호는 자기주도학습 능력(r=.775, p<.01)과 자신감은 학습만족도(r=.369, p<.05)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은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효능감은 과제난이도 선호(r=.624, p<.01)와 자신감(r=.391, p<.05)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신감 간 유의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러닝에 대한 학습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을 위한 인터넷 접속의 용이성’, ‘온라인 수업 참여도’, ‘온라인 의사소통 활용’은 평균 3.71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온라인을 활용하는 학습 수행력은 평균 이상임을 의미한다. 가장 높은 학습만족도 문항은 ‘수업특성에 대한 만족도’로 평균 4.15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블렌디드러닝이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Kee & Roh, 2005)와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블렌디드러닝의 학습자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는 Kim(2006)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높은 학습만족도는 ‘수업 이해도’ 및 ‘수업 흥미도’와 관련된 문항으로 평균 4.08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용된 온라인 수업의 장점인 시공간적 제약 없이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Cha, 2006)과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내적학습동기 유발이 이루어졌음(Hong, 2003)을 의미한다. Kee와 Roh(2005)는 블렌디드러닝 수업은 학습 환경 접근성이 용이하고, 학습 속도 조절이 가능한 온라인 수업의 장점과 즉각적 의사소통 및 교수자와의 대면접촉으로 인한 심리적 요인의 영향으로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하였다.

가장 낮은 학습만족도는 평균 2.58로, 문항 ‘온라인 방식만을 적용한 수업이 더 효과적이다’와 문항 ‘온라인상에서 교수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오프라인 상에서 보다 편리하였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라인 수업이 온라인 수업에 비해 즉각적인 질의응답이 가능하며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들 간의 적극적 상호피드백이 용이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블렌디드러닝이 적절하다는 선행 연구결과(Kim & Lee, 2006)를 뒷받침한다. ‘온라인상의 토론 활동이 오프라인상의 토론활동 보다 더 도움이 되었다’는 문항은 평균 2.77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온라인상의 토론이 오프라인에 비해 신속히 이루어지기 힘들고, 주제유지가 어려운 것(Choi & Lee, 2010)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블렌디드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블렌디드러닝 수업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블렌디드러닝이 학습계획ㆍ실행ㆍ평가로 구성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증진시킨다는 선행연구(Kim, 2017; Oh, 2015) 결과와 일치한다. 학습자 중심의 블렌디드러닝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며(Kim, 2006),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평가 및 차기 학습전략을 제시하고 유지하는 교수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Park, 2022). 따라서 블렌디드러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사료된다.

셋째, 블렌디드러닝 수업에 참여한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인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블렌디드러닝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한다(Kim & Lee, 2006; Suh & Han, 2022).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 효율적 과제 수행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다(Pajares, 1996). 블렌디드러닝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향상된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실현가능한 도전 과제를 선택하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써 학습자의 능력이 점차 향상될 수 있는 동기로 작용될 수 있다(Choi & Lee, 2010). 따라서 블렌디드러닝은 언어치료 전공자들이 맡은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넷째,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은 매우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796, p<.01). 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정적 상관이 있다는 선행연구(Lee & Kim, 2014)를 뒷받침한다. 또한 학습만족도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능력이 더 높은 상관을 나타낸 것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이 학습동기 유발에 영향(Lim & Yeom, 2020)을 주고,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Oh, 2017)을 미치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는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만족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블렌디드러닝은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Choi & Lee, 2010), 학업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에도 영향(Lim & Yeom, 2020)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은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1개 대학의 여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자를 확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이론 수업만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하였으나, 추후 실습수업에도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의 변화만 살펴보았으나, 추후에는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
1. Baek, S. H. (2003).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blended learning to design education: Focused on the survey of learners’ satisfactio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6(4), 443-452. uci:G704-000241.2003.16.4.040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Cha, J. E., & Kang, H. J. (2020).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education combined with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1), 433-446.
4. Cha, M. (2006). A case study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offline dual instruction for college english class. Modern English Education, 7(1), 182-205. uci:G704-000241.2003.16.4.040
5. Choi, I., & Lee, A. (2010). Effects of blended-learning on self-efficacy and attitud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17(3), 95-114. uci:G704-000563.2010.17.3.001
6. DeLacey, B. J., & Leonard, D. A. (2002). Case study on technology and distance in education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5(2), 13-28.
7. Han, S. (2008). The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LIS education: Focused on students’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81–101. uci:G704-000226.2008.42.3.010
8. Hong, S. H. (2003).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by web-based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0(2), 1-22.
9. Kee, Y., & Roh, H. (2005).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ourse and on-line course in a university clas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1), 63-80. uci:G704-SER000014393.2005.1.1.005
10. Kim, A. Y., & Park, I. Y.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1), 95-123.
11. Kim, B. N. (2006). A comparison study on the instruction effects of blended learning and traditional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2. Kim, J. K., & Lee, E. S. (2006). The effects of obese elementary student education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2), 13-24. uci:G704-001960.2006.19.2.003
13. Kim, M. (2010). The effects of blended-learning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14. Kim, S. M. (2017).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directed learning skills of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330-338.
15. Kwon, H., Moon, E., & Park, I. (2015).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blended learning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3), 333-359.
16. Lee, G. H., & Kim, J. Y.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cours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4), 33-57.
17. Lee, O. S., & Noh, Y. G. (2021). The effect of the blend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11), 373-379. dol:10.14400/JDC.2021.19.11.373
18. Lim, S., & Yeom, Y. R. (2020).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to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both online and offline lectur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11), 107–116.
19. Oh, H. K. (2015).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in nursing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5(4), 529-538.
20. Oh, H. S. (2017).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311-321.
21. Pajares, F. (1996). Self-efficacy beliefs in achievement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543-578.
22. Park, M. (2022).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applying blended learning us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1), 17-28. dol:10.22251/jlcci.2022.22.1.17
23. Song, M., Kim, E., & Yu, S. (2012). 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6), 390-401.
24. Suh, Y., & Han, E. (2022).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2), 61-70. dol:10.22678/JIC.2022.20.2.061
25. Woo, J., Kim, B., & Lee, O. (2009). 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s an alternative of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7(2), 219-225. uci:G704-001947.2009.7.2.027
26. Yang, A. K., & Cho, H. J. (2009).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up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 Implementation, 8(3), 61-82. uci:G704-002072.2009.8.3.006
27. Yu, B. M., Jeon, J. C., & Park, H. J. (2013). The effects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reflection.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9(4), 837-859. uci:G704-000750.2013.19.4.010

참 고 문 헌
28. 권회림, 문은경, 박인우 (2015). 국내 블렌디드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333-359.
29. 기영화, 노호정 (2005).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연구: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 HRD연구, 1(1), 63-80.
30. 김명희 (2010). Blended-Learning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김보나 (2006). 대학에서 블렌디드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의 수업효과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김수미 (2017). 간호학 전공수업에 적용한 블렌디드 러닝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12), 330-338.
33.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34. 김정겸, 이은선 (2006). 혼합학습 환경에서 비만학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2), 13-24.
35. 박미마 (2022).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 17-28.
36. 백수희 (2003). 디자인교육에서 혼합형 수업(Blended learning) 적용 가능성: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6(4), 443-452.
37. 서유진, 한은경 (2022).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 효능감 및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효과. 산업융합연구, 20(2), 61-70.
38. 송미령, 김은만, 유수정 (2012).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6), 390-401.
39. 양애경, 조호제 (2009).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40. 오혜경 (2015). 혼합형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5(4), 529-538.
41. 오효숙 (2017).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8), 311-321.
42.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2009).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7(2), 219-225.
43. 유병민, 전종철, 박혜진 (2013). 대학 수업에서 개인적 성찰과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837-859.
44. 이경희, 김지연 (2014).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4), 33-57.
45. 이외선, 노윤구 (2021). 블렌디드러닝 융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전략,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9(11), 373-379.
46. 임세미, 염영란 (2020). 온ㆍ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합정보논문지, 10(11), 107–116.
47. 차미양 (2006). 온ㆍ오프라인 병행수업의 대학 영어강좌에의 적용에 대한 사례 연구. 현대영어교육, 7(1), 182-205.
48. 차지은, 강현주 (2020). 온라인 학습을 병행한 핵심기본 간호술 실습교육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2(1), 433-446.
49. 최인규, 이안수 (2010). 체육 블렌디드러닝이 초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95-114.
50.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
51. 홍석호 (2003). 체육교과에서의 웹기반 활용수업을 통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체제 적용방안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0(2),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