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Vol. 28 , No. 2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28, No. 2, pp. 211-218
Abbreviation: JSLHD
ISSN: 1226-587X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9
Received 20 Mar 2019 Revised 22 Apr 2019 Accepted 25 Apr 2019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19.28.2.211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박현1 ; 이명순1, *
1상지영서대학교 언어치료과 교수

A Study on Effects of Hierarchical Daily Program on Social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Hyun Park1 ; Myoung Soon Lee1, *
1Dept. of Speech-Language Therapy, Sangji Youngseo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Myoung Soon Lee, PhD E-mail : flash-on@hanmail.net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발달장애 청소년 4명이였으며 프로그램은 강원도 소재 ○○ 대학교 실습실 내에서 총 30회기로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대상자 1은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 항목 중 대화의 의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2는 대화의 의미 이해,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3은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4는 사건의 진술,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호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 시 적절한 개입,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발생율 증가에 영향을 준 요인은 다음의 세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대상자가 사회에서 경험하였거나 당면하게 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며, 그 상황에 적절한 반응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위계적 일상생활 프로그램 내용의 스크립트적인 특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세번째 요인으로는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이 청소년이라는 시기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이는 청소년 직업 및 직무에 대한 욕구와 필요성에 부합하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hierarchical daily communication programs on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 adolescents who were given a total of 30 sessions in a laboratory at 00 University located in Gangwon-do. To analyze the data, a Mann-Whitney-test was used with 18.0 SPSS.

Results:

First, Target 1 expresse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conversation among social communication checklist items, the use of language appropriate for role,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other party, and the improvement of ability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Target 2 expresse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understanding humor, using language appropriate for role, making appropriate attempts to communicate, responding appropriately to the other party, and improv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Target 3 indicated improvements in ability in the use of language appropriate for role, appropriate attempts to communicate, and appropriate responses to the other party. Target 4 expressed the statement of events, understanding humor, using language appropriate for role, proper attempts by proxy, proper responses to the other party, proper intervention in the conversation, and improved ability at the end of the conversation.

Conclusion:

The three factors that affected increased occurrences of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explained what they had experienced or situations that they will face in society, and provided appropriate responsive methods of the situation. Second was script characteristics of content of hierarchical daily communication program. The third factor was that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consider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 called adolescence and this study speculated that it mad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s it corresponds to the desire and necessity of job and duty of adolescents.


Keywords: Hierarchical daily program,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ocial communication
키워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프로그램, 발달장애 청소년, 사회적 의사소통

Ⅰ. 서 론

인간은 각각 독립된 개체가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이며,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 놓여있다. 성공적인 상호작용의 관계란 삶속에서 관계를 맺고 효율성을 따르는 것을 의미하며, 의사소통 상대에 따라 다양한 맥락 내에서 적절한 상호규칙을 적용하여 상대의 의도와 의사소통 목표를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Jin & Bae, 2011). 즉 인간은 의사소통을 통해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간 생각과 감정, 의견을 전달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한다. 하지만 의사소통에서 정보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제한된 의사소통만을 하게 되며 이는 타인과의 상호작용 단절로 이어지게 된다.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를 비롯한 발달장애를 지닌 이들은 사회적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말로 의사소통 의도를 전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Kim(2002)은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이는 언어의 여러 영역들 중에서 상황적 문맥, 언어적 문맥에 따라 언어로 이해하거나 표현해야 하는 언어의 기능적 측면인 화용론적 측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지닌다고 하였다. Lee(1995)는 자폐의 언어· 의사소통적 문제는 단순히 말의 습득과 사용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언어장애가 아니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의도와 표현 및 의사소통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결여되어 있고, 의사소통의 의도가 있다 하더라도 그 의도를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결함이 있다고 하였다. 이들은 또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어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 같은 정서적 자극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눈 맞추기와 사회적 미소의 사용 결핍도 흔히 나타낸다. 또한 대화규칙에서 정보 제공 및 통제 기능이 제한되어 있어 의사소통 규칙에 있어서도 부적절한 문장을 많이 사용한다.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문제는 모든 성장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청소년기는 그 시기적 특징으로 인하여 단순히 의사소통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고 독립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한 상호 작용의 문제로 나타나게 된다. Cho(2004)는 발달장애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들에 비하여 실패를 훨씬 더 많이 경험하고 낮은 동기 수준과 자아개념을 가지게 되며 사회작용의 기회가 결핍된다고 하였다. 또한 Cho(2004)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주된 장애 특성은 타인과의 사회 상호작용의 결함이라고 하였으며, 상호 작용의 결함은 낮은 인지능력과 의사소통의 어려움, 상호작용에 한 경험의 부족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필요한 사회 ·정서발달의 결함이 생기는 원인은 지시의 부족, 연습이나 피드백의 부족, 단서나 기회의 부족, 강화의 부족, 방해되는 문제행동의 존재로 설명할 수 있다. 지속되는 상호작용의 결함과 실패는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스트레스를 가져오고 사회적 고립, 거부, 위축, 낮은 자존감과 공격적 행동과 같은 점차 더 심한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문제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된다(Burgess & Trukstra, 2010). 이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대인관계라는 상황 속에서 고립되거나 소외되지 않고 사회 구성원으로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효과적인 언어 중재를 계획함에 있어, 앞에서 서술한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제한된 의사소통 기능 범주를 확대해 주는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발달 장애인이 나타내는 의사소통의 문제 중에서 가장 빈번하고 심각하게 제기되는 것은 습득한 언어의 자발적 사용과 일반화이며 중재는 이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Im, 2001). 의사소통 자발성의 부족은 자연스럽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이어져 정상적 의사소통를 방해하고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Kim(2005)은 자폐를 지닌 이들에 대한 의사소통 중재는 의사소통의 화용론적 기능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특성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형태의 모색과 실행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의사소통 기능은 자연스러운 일상적 환경과 이를 위한 구조화된 활동 속에서 습득될 수 있다고 하였다. Jo(2007)는 지적장애인의 대인관계 형성의 어려움, 사회 기술의 현저한 부족은 장애에 기인한 특성이라기보다 그들이 일상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과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지적장애인들은 여러 가지 사회기술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Yoon & Jeong(2017)는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능력은 특정 장소에서 저절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며 사회적 능력을 목적으로 한 정책적 지원과 서비스가 제공될 때 그 능력의 발달이 가능하다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친숙하고 일상적인 상황일수록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그 상황 속에서 일어나는 대화 내용을 더욱 잘 이해하고 상황에 적절하고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사용하게 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제공되는 의사소통 중재는 이들이 처하게 되는 일상적인 환경 내에서 반복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일관적인 일상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 촉진적 내용이어야 한다.

더불어, 발달장애 청소년의 시기적 특성을 고려한 언어중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Jang(2008)은 발달장애 학생이 궁극적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참여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하였다. 여기에서 사회적 참여는 ‘취업 활동’, ‘지역 사회 조직 및 단체 활동’ 이 포함 되는 의미로 정의된다. 하지만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존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는 가족과의 의사소통, 종교생화 일상적인 가사와 같은 사회적 참여 보다는 단순한 문제해결에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 또한 사회화와 관련된 프로그램들도 사회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사람으로서 사회적 통합을 살펴보기 보다는 사회성 발달과 문제 행동 감소를 위한 특수교육의 관점이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다(Kim, 2003; Kim, 2008; Yoon, 2010).

위에 언급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장애 특성과 시기적 특징을 모두 고려한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고 계획활 수 있는 지원을 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위계적 사회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 명의 발달장애 청소년을 선정하였으며, 구체적인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 연령이 만 15세 이상 18세 미만에 속하는 학생

둘째,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학생

또한 대상자들의 일반적 정보는 표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
Participants Gender Age
1 M 18;2
2 M 15;11
3 M 17;10
4 M 18;4

2. 연구 절차
1) 사전 검사 단계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참여자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는 Park et al.(2014)를 참고하였으며, 본 연구의 기준에 맞추어 수정 보완 작성하였다. 수정 보완된 체크리스트는 언어치료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언어치료사 3인에게 내용 타당도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체크리스트는 1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용은 표 2에 제시하였다.

Table 2. 
Content of social communication checklist
Language
ability
Not
appropriate
at all
In
appropriate
In ordinary
circumstances
Adequate Very
appropriat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1 2 3 4 5
A statement of
events
1 2 3 4 5
Us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situations
1 2 3 4 5
Understanding
Humor
1 2 3 4 5
Use appropriate
language for role
1 2 3 4 5
appropriate
attempt at
conversation
1 2 3 4 5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other party
1 2 3 4 5
Ignition correction 1 2 3 4 5
Requires detailed
explanation
1 2 3 4 5
Proper intervention
in conversation
1 2 3 4 5
The end of a
conversation
1 2 3 4 5

2) 중재 단계

본 연구의 중재 단계에 적용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다음의 세 가지를 고려하여 그 내용이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일상생활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이 흔히 접할 수 있는 일상적인 상황을 제공하여 각 상황에서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꾀하였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의 각 영역들이 스크립트 화 되고 구체적인 자극과 반응에 대한 내용이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발달 장애인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단계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세 번째, 청소년이라는 시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이나 직무와 관련된 의사소통 내용을 포함하였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은 공통영역, 직무 관련 영역, 동료 관련 영역 등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마다 의사소통 요소와 요소 별 구체적 프로그램 주제가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구성은 Jo(2007)를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였으며 세 명의 1급 언어치료사에게 그 내용을 검중 받았으며, 그 내용은 표 3에 제시하였다.

Table 3. 
Contents of Hierarchical Daily Communication Program
Area Communication
element
Subject of communication
Common
area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oney
calculation of coin unit
calculation of unit of note
calculation of change
direct calculation of commodity prices
Time-understood
Time Transfer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ime Units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Time in 15 Minutes
Planning and Expressing Daily
Schedules
Activity Order Representation
Self-introductio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Self-introduction Related
Vocabulary
Understanding
Self-introduction-related
Situation Ming Expression
Self-introduction
Job-
related
area
Phone use Understanding phone
usage-related words
Say hello to a familiar person
on the phone
To talk over the phone
Fin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o search
Deliver search content
Using SNS
Using Email Greetings by E-mail
Reply by email
Using Attachments
Questions on
Interview Situation
To express an interview-related
vocabulary
Answer Interview Questions
Peer-
relevant
area
Ordering food Choosing food
Ask about other people's taste
in food
ordering food
Weather story Understanding weather-related
vocabulary
To greet with respect to
weather

3) 사후 검사 단계

위계적 일사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시 후 참여자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사전 검사에서 사용된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4) 연구 장소 및 기간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 대학교 실습실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실험 기간은 2018년 6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 2회씩 총 30회기로 실시되었다.

3. 결과처리

본 연구는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따른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수집된 자료와 프로그램 운영 후 사후 평가에서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중재 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18.0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 검정 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 1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변화 대화의 의미이해 능력 변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 후 대화의 의미 이해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4).

Table 4. 
Target 1 Change in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re-evaluation Post-evaluati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2 3
A statement of events 1 1
Us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situations
1 1
Understanding Humor 1 1
Use appropriate
language for role
1 3
appropriate attempt at
conversation
2 2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other party
1 2
Ignition correction 2 2
Requires detailed
explanation
1 1
Proper intervention in
conversation
1 1
The end of a
conversation
2 3

대상자 1은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 항목 중 대화의 의미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2. 대상자 2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변화 대화의 의미이해 능력 변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 후 대화의 의미 이해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5).

Table 5. 
Target 2 Change in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re-evaluation Post-evaluati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2 3
A statement of events 1 1
Us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situations
2 2
Understanding Humor 1 2
Use appropriate
language for role
1 3
appropriate attempt at
conversation
1 2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other party
1 2
Ignition correction 1 1
Requires detailed
explanation
1 1
Proper intervention in
conversation
2 2
The end of a
conversation
1 3

대상자 2는 대화의 의미 이해,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3. 대상자 3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변화 대화의 의미이해 능력 변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 후 대화의 의미 이해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6).

Table 6. 
Target 3 Change in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re-evaluation Post-evaluati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2 2
A statement of events 1 1
Us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situations
1 1
Understanding Humor 1 1
Use appropriate
language for role
2 3
appropriate attempt at
conversation
1 3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other party
2 3
Ignition correction 1 1
Require detailed
explanation
1 1
Proper intervention in
conversation
1 1
The end of a
conversation
2 2

대상자 3은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4. 대상자 4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변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 후 대화의 의미 이해 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표 7).

Table 7. 
Target 4 Change in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Language ability Pre-evaluation Post-evaluati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conversation
2 2
A statement of events 2 3
Use of observed and
experienced situations
1 1
Understanding Humor 1 2
Use appropriate
language for role
2 3
appropriate attempt at
conversation
1 3
appropriate response
for the other party
1 2
Ignition correction 1 1
Requires detailed
explanation
1 1
Proper intervention in
conversation
2 3
The end of a
conversation
2 3

대상자 4는 사건의 진술,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호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 시 적절한 개입,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 후에 대한 비모수 검정 결과는 다음과 다음과 같다(표 8).

Table 8. 
Mann-Whitney test for pre-evlauation and post-evaluation
N M SD Z P
사전 4 15.00 .816 -2.323 .029*
사후 4 21.25 2.217
*:p <.05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한 비모수 검정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사전 검사 결과 사후 검사 결과는 차이가 있고 중재의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명의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상자 1은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 항목 중 대화의 의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2는 대화의 의미 이해,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3은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화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 4는 사건의 진술, 유머 이해, 역할에 맞는 언어 사용, 대호의 적절한 시도, 상대방에 대한 적절한 반응, 대화 시 적절한 개입, 대화의 종료에서 능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각 대상자 별 효과가 나타난 의사소통 요소는 차이가 있었다. Park(2007)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은 두 명 이상의 상대자가 단어, 구, 문장, 몸짓들을 교환하는 행동으로서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계된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상호 작용에는 언어 능력, 사회성, 행동, 인지 정도가 영향을 미친다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대상자 별 향상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요소의 차이는 각 대상자의 언어능력, 사회성, 행동, 인지 정도와 같은 개인의 기질적 차이와 더불어 가족 환경, 주로 접하는 사회적 환경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추된다. 그러나 대상자 별 향상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요소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 모든 대상자에게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비모수 검정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중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영향을 준 요인은 다음의 세 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대상자가 사회에서 경험하였거나 당면하게 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며, 그 상황에 적절한 반응 방법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혼돈할 수 있는 상황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실제 일상 상황을 이용한 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발화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한 Kim 등(2006), Han(2003)의 결과와 일치한다. 이들 선행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연구에서 사용된 중재 방법이 각 대상자가 처해있는 특정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분명한 사회적 단서 내용 및 이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야기하는 개별화된 접근 방법(Gray, 1994)을 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이 발달 청소년들에게 상황에 대한 중재를 소개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가질수 있다고 본다.

두 번째,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발생율 증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위계적 일상생활 프로그램 내용의 스크립트적인 특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위계적 일상생활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어려움을 나타내는 의사소통 행동에 대하여 각각 의사소통 행동의 목표와 목표에 대한 발화가 일어난 후 사회적인 반응들로 구성된 구체적 스크립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립트를 활용한 사회적 행동 및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선행 연구들(Goldstein, 2002; Rogers & Myles, 2001)은 발달장애인에게 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학습시키는데 있어 스크립트가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스크립트를 이용한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적 특성과 스크립트가 가지는 구체적이고 반복적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인하여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령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청소년이라는 시기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이는 청소년의 직업 및 직무에 대한 욕구와 필요성에 부합하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 시기는 성인을 준비하는 시기이며 사회로의 진출을 연습하고 익히며 준비하는 시기이다. 이는 장애 청소년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오히려 장애로 인하여 더 분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활동과 피드백이 요구된다. Jo(2007)는 청소년 장애인의 최종 재활 목적은 생활의 자립이며 이는 직업훈련을 받은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지고 이를 통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통합되어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가정, 학교, 정부 차원에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절실하다. 이러한 현실에서 직업을 위한 신체적인 작업 기능을 배우고 익히는 것도 중요하나 더불어 직업과 관련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은 직업의 필요조건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발달장애 청소년이 직업과 직무에 관련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위축되거나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인 의사소통의 주체자가 될 수 있도록 돕고, 의사소통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과 자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직업과 관련된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접근이 필요하다.

Ellenson(1982)은 ‘인간관계는 자아의 형성, 발달할 뿐 아니라 개인의 정체성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였다. 위의 주장처럼 사회 안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은 각 개인의 삶에서 가장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서는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는 발달장애인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이들이 사회 속에서 인간관계를 맺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이러한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결과와 논의를 중심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한점과 그에 따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위계적 일상생활 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 그 장소는 ○○ 대학 내 실습실이였으며 일상적인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다른 환경에서의 일반화를 위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이 살고 있는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두 번째,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 네 명에게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로, 참여자의 수에서 그 제한을 가진다. 따라서 향후 좀 더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Burgess, S., & Turkstra, L. S., (2010),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in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A feasibility study,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41(4), p474-487.
2. Cho, Y. T., (2004), Cultural considerations on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abnormal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8(2), p169-185.
조용태, (2004), 발달장애아 이상행동의 진단ㆍ평가에 대한 문화적 고려, 발달장애연구, 8(2), p169-185.
3. Ellenson, A., (1982), Human rel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 Goldstein, H., (2002),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 review of treatment efficac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2(5), p373-396.
5. Gray, C., (1994), The new social story book, Arington, Future Horizons.
6. Han, J. H., (2003), The effect of social context mediation on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
한주희, (2003),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Im, H. J., (2001), (The) effects of Milieu language teaching using PECS in requesting object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임희정, (2001), 사진교환의사소통체계(PECS)를 이용한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아동의 사물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Jang, J. A., (200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the developmental disorder,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장진아, (2008),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Jin, Y. S., & Bae, S. Y., (2011), A literature review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in Korean journal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0(3), p143-165.
진연선, 배소영, (2011),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에 관한 국내 문헌 연구, 언어치료연구, 20(3), p143-165.
10. Jo, K. Y., (2007), A Study on adult mental retardation Ability of Learning the Basic Functions, Social Skills and Ability to Adjust themselves to Local Community, and Language Skills, Dankook University, Gyunggido.
조경연, (2007), 성인정신지체인의 직업관련 기초기능학습ㆍ지역 사회기술ㆍ언어능력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Kim, M. Y., (2005),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pontaneity of 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for children with autism,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김민영, (2005),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인 기능적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Kim, M. Y., Lee, S. H., & Choi, Y. H., (2006),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under integrated setting on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autistic childre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6(1), p85-107.
김미영, 이소현, 최윤희, (2006), 통합 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6(1), p85-107.
13. Kim, S. H., (2008), An effect disable person’s attendance activity give sociality improvemen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김순호, (2008), 장애봉사단 활동이 지적장애인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Kim, S. J., (2003), The effect of small group art activity and on the social skill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김소정, (2003), 소집단 미술활동이 발달 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Kim, Y. T., (2002),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ren’s speech disorders, Seoul, Hakjisa.
김영태, (2002), 아동 언어 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16. Lee, S. H., (1995),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oul, Ehwa Womans University Press.
이소현, (1995),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7. Park, C. J., (2007),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social communicative behaviors of a child with autism,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박채진, (2007), 사회적 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 의사표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Park, J, H., Kim, H, S., & Park, J. S., (2014), Characteristic of pragmatic langu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16(2), p153-175.
박지혜, 김화수, 박정식, (2014),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지적장애연구, 16(2), p153-175.
19. Rogers, M. F., & Myles, B. S., (2001), Using social stories and comic strip conversations to interpret social situations for an adolescent with Asperger syndrome,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6(5), p310-313.
20. Yoon, J. S., & Jeong, E. H., (2017),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SD,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9(2), p269-293.
윤지성, 정은희, (2017), 자폐성장애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9(2), p269-293.
21. Yoon, S. A., (2010),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in small group on the empathic ability, emotional exp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n integrated setting,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윤선아, (2010),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공감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의 공감능력, 정서 표현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ppendix
Appendix 1. 
Example of Hierarchical Daily Communication Program
영역 의사소통구성
요소
주제 단계 내용
공통
영역
돈 개념
이해하기
돈 단위
계산하기
도입
- 어제 접했던 사회적 상황들에 대한 대화 나누기

- 돈 단위(10,000원, 5,000원, 1,000원) 설명

전개
활동 1. 메뉴판을 이용하여 돈 단위 계산하기

     음식 메뉴에 가격을 책정하고 음식 주문 상황에서 돈 단위 계산하기

     예) 양념 치킨 6000원, 불고기 피자 10,000원, 불고기버거 3,000원,
        우동 3,000원, 김밥 2,000원, 라면 2,500원


활동 2. 물건 구입하기 상황에서 돈 단위 계산하기

     마트에서 물건구입 하기 상황에서 물건 가격 계산하기
     마트에서 물건구입 하기 상황에서 거스름돈 계산하기

     예) 껌 300원, 콜라 1,500원, 과자 2,000원,
        사과 7,000원, 우유 3,000원

종결
- 돈 단위(10,000원, 5,000원, 1,000원)에 대한 설명과 확인하기

- 간단한 돈 계산을 다시 해보고 이에 대한 정반응율 알아보기

- 다음 회기에서 다룰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나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