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0, No. 3, pp.105-116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l 2021
Received 29 Jun 2021 Revised 12 Jul 2021 Accepted 30 Jul 2021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1.30.3.105

발달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교육 정책 제안을 위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명순1 ; 박현1, *
1상지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A Systematic Study on Social Communication-Related Intervention for the Proposal of a Social Communication Education Polic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yungsoon Lee1 ; Hyun Park1, *
1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Sangj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Hyun Park, PhD E-mail : ph79@sangji.ac.kr

Copyright 2021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공교육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출간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를 국내 학술지, 석/박사 논문, 학회 등에서 검색하였다. 문헌고찰 시 사용된 국내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DBpia, KISS, 교보문고스콜라, E-article이었다. 구체적인 검색절차는 다음과 같다.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검색 용어는 발달장애 &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장애 & 사회기술, 발달장애 & 사회적응, 발달장애 & 화용으로 결정하였으며 제목 혹은 초록에서 검색 용어가 추출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분석 내용은 연구 근거의 질적 수준, 대상자들의 진단군, 중재 내용, 효과,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 ASHA(2016)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체계(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분류였다.

결과:

첫째, 분석대상 연구의 질적 근거 수준은 II(30.8%), III(61.5%)으로 나타나 근거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둘째,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연구가 4개(30.8%), 사회적 기술, 연극치료, 화용 중재,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는 각각 2개로 15.4%이다. 또한, 독서치료 중재 연구는 1개로 7.7%이다. 셋째, 중재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는 전체 5개 연구로 38.5%이다. 평가도구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는 2개로 15.4%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는 질적 근거 수준이 높았고 효과 검증에서도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었다. 다만, 평가도구의 적절성 부족, 비표준화, 표준적인 사회적 의사소통 지도안의 부재 등으로 효과성 검증에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의 표준적인 지도안과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s that can support social adapt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as education for special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reasonable basis for this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Methods:

This study searched for social communication-related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ublished between 2016 and June 2021 in domestic journals and doctoral papers. The domestic databases used in literature review wer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DBpia, KISS, Kyobobook Scola and E-article. The search terms used in the domestic database were determined as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social skills,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social adaptation,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pragmatics, and a paper containing such search terms was collected in the title or abstract. The analysis was classified into qualitative level of evidence, diagnostic group of subjects, intervention contents, effect, evaluation tools for effect verification, and the 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of ASHA (2016).

Results:

First, the qualitative evidence level of the selected studies was Level II (30.8%) and Level III (61.5%), which had a high evidence level. Second, 4 studies on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30.8%) were conducted, and 15.4% of the studies on social skills, drama therapy, pragmatic intervention,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bibliotherapy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one study (7.7%). Third, 5 studies (38.5%) showed significant effects, with 2 studies (15.4%) showing significant effects in the sub-areas of the evaluation tool.

Conclusions:

The social communication related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meaningful i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However, further studies on the appropriateness, standardization, and standard social communication guidance of evaluation tools is needed.

Keywords:

Developmental disability, social communication, social skills, pragmatics

키워드:

발달장애,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 화용

Ⅰ. 서 론

2014년 11월 19일 제정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 ‘발달장애인’을 세 가지 차원에서 정의하였다. 첫째,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거나 불완전하여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사람인 ‘지적장애인’을 포함하였다. 둘째, 소아기 자폐증, 비전형적 자폐증에 따른 언어ㆍ신체표현ㆍ자기조절ㆍ사회적응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인 ‘자폐성장애인’을 포함하였다. 셋째, 그 밖에 통상적인 발달이 나타나지 아니하거나 크게 지연되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등을 포함하여 발달장애인을 세 부류로 정의하였다. 2018년 9월 보건복지부 등 부처합동 ‘발달장애인 평생 케어 종합대책’이 마련되었다.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의 자료에 따르면, 등록 장애인 2,545,637명 중 발달장애인(225,601명)은 8.9%를 차지하였다(2017. 12. 기준). 발달장애인수는 2018년 현재 22만 6,000명(지적 20만 1,000명 , 자폐성 2만 5,000명)으로 성인이 17만 명(75%), 영유아 및 아동이 4만 7,000명(21%), 65세 이상이 약 9,000명(4%)이다. 발달장애인은 매년 증가 추세(연 3.6% 증가)라고 복지부는 설명하였다(KIHASA, 2019). 발달장애인 평생 케어 종합대책은 2018년 조사 당시 집에만 머무르는 발달장애인 비율을 크게 낮추고(26% → 2%), 발달장애인의 고용률을 전체 장애인 수준으로 높이는(23% → 36%) 등의 종합대책을 통한 목표를 밝혔다. 또한, 전체 장애인의 경우 65세 이상이 가장 많지만, 발달장애는 18∼44세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KIHASA, 2019). 따라서 범국가적인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높이려는 목표와 사회참여를 적극적으로 하여하는 연령대의 높은 분포 등을 고려하였을 때, 발달장애의 사회적응을 위한 체계적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의사소통 및 상호 작용 결함은 체계적적이고 구체적인 훈련 및 성공의 경험이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면 충분히 변화 가능하며 점진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Jang, 2008) 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전문가들은 발달장애 학생이 궁극적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이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지적장애인의 대인관계 어려움, 사회 기술의 부족은 장애 특성이라기보다 그들이 일상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제한되어 있고,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 제한되어 있어 비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여러 가지 사회기술이 지적장애인들에게는 학습해서 익혀야 하는 기술이 된다(Cho & Park, 2009). 발달장애인들에게 사회적 접촉과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고, 사회적 접촉의 기회를 만들고,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의미 있고 즐거운 것으로 경험할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도해야 한다(Rhea, 2003).

사회적 의사소통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 상대, 목적에 따라 대화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한 구어와 비구어의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Prizant & Wetherby, 2005). 사회적 의사소통은 두 사람 이상이 사회적 상황과 맥락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구어 및 비구어 등의 다양한 수단을 화용적인 목적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역할이 계속 바뀌어가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의사소통을 지도하는 목적은 지역사회 참여도와 자립성을 높이고 대인관계의 질적 수준 향상 및 사회적 관계의 발달이다. 사회적 기술 훈련 과정은 사회적 의사소통 요소가 병행되어야 하고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시 사회적 기술 요소가 병행되어야 하므로 발달장애인의 최종 목적인 사회적응과 사회참여를 위해서는 적절한 사회적 기술과 사회적 의사소통이 요구된다.

2007년 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23조에 따라 진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참여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가 및 사회의 책임론이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수교육의 최종적인 교육 목표를 위한 적응력 높은 교육을 시행하여야하기 때문이다. 사회적 의사소통 교육이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그리고 취업기관에 이르기까지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면 맞춤형 사회참여와 지원 및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삶의 질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이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더욱 기능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회참여에서 가장 기초 수단인 의사소통교육은 표준적인 교육 프로토콜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공교육에서 필요하다고 보며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에 대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발달장애인 사회적 의사소통 교육 정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발달장애인의 사회적응 관련 중재 연구 문헌으로 하였으며 사회적응 관련 중재 연구 문헌을 찾기 위하여 검색 용어는 다음의 문헌에 근거하였다(Table 1).

Relevance of search terms

위의 문헌을 참고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관련 논문을 찾기 위해서 ‘사회적응’, ‘사회적 의사소통’, ‘사회적 기술(사회기술)’, ‘화용’ 검색용어를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연관성은 Figure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

Correlation between search terms

1) 포함기준

분석대상 연구의 논문의 포함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함기준은 학령기 이상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연구로서 국내논문으로 하였다. 둘째, 키워드는 발달장애(자폐성, 지적장애)와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장애(자폐성, 지적장애)와 사회적 기술(사회기술), 발달장애(자폐성, 지적장애)와 사회적응, 발달장애(자폐성, 지적장애)와 화용이 포함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셋째, 전문보기가 가능한 논문으로 하였으며, 넷째, 무작위 통제 실험연구, 유사 실험 연구, 사례연구 등을 검색하였다.

2) 배제기준

분석대상 연구의 논문의 배제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복논문은 제외하였다. 둘째,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가 아닌 논문은 제외하였다. 셋째, 대상자가 학령전기인 연구는 제외하였다.

2. 검색 방법과 자료 선정

본 연구는 최근 5년, 201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출간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를 국내 학술지, 석ㆍ박사 논문, 학회 등에서 검색하였다. 대상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문헌고찰 시 사용된 국내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DBpia, KISS, 교보문고스콜라, E-article이었다. 구체적인 검색절차는 다음과 같다.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할 검색 용어는 문헌에 근거하여 발달장애와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장애와 사회적 기술, 발달장애와 사회적응, 발달장애와 화용으로 결정하였으며 제목 혹은 초록에서 검색 용어가 추출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검색한 논문을 제1저자와 교신저자가 제목과 초록을 중심으로 문헌을 확인하여, 73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직접 연구를 읽고 포함 및 배제기준에 근거하여 총 12개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1개의 연구를 추가하여 총 13개의 연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의 정확성 및 누락 가능성에 대해 제2저자가 독립적으로 확인하였다(Figure 2).

Figure 2.

The process of intervention papers retrieval for social communic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3. 분석 내용

1) 연구 근거의 질적 수준

분석 대상 논문의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결과 측정을 위한 근거 수준은 Arbesman 등(2008)에 의해 개발된 연구의 근거기반 수준 분류표를 사용하였다. 근거수준(level of evidence)은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하는 정도를 뜻하며 I에서 V 수준 중에서 숫자가 높아질수록 설득력이 약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Table 2에 제시하였다.

Qualitative evidence level

2) 연구의 분석 과정

분석대상 연구는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 PICO, Huang et al., 2006)에 따라 정리, 진단군, 중재 내용과 효과, 평가도구에 대한 자료 추출과 통합은 제1저자가 시행하였고 제2저자는 정확성을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견이 발생할 시 토의하여 결정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는 Appendix 1에 제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대상자들의 진단군과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를 정리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3) 발달장애인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내용과 효과

분석대상 연구에서 실시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방법과 내용, 평가도구를 분류하였다. 13개의 대상연구에서 실시한 중재 내용을 범주에 맞추어 분류하고 빈도 분석하였다. 중재에 대한 효과는 평가도구 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통계적인 차이가 명확한 경우는 SIG (treatment of interest yield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than contrast group),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groups), 하위영역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달라 다양한 결과가 나온 경우는 VAR (variable results found), 결론을 내릴 수 없는 결과가 나온 경우는 INC (inclusive results)로 나타내었다(Polatajko & Cantin, 2006). 그 외 단일 집단의 중재 전ㆍ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SIG로 분류하였고, 기술 통계는 있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밝히지 않은 경우는 INC로 판단하였다.

4) ASHA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영역

ASHA(2016)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체계(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에서 서비스 전달 영역에 따라 중재 영역을 분류하였다. 영역은 협력(collaboration), 상담(counseling), 예방과 웰니스(prevention and wellness), 선별(screening), 평가(assessment), 치료(treatment), 과학화 및 첨단화(modalities, technology, and instrumentation), 인구와 시스템(population and systems)이었다.


Ⅲ. 연구 결과

1. 분석대상 연구의 근거에 대한 질적 수준

분석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을 살펴본 결과 근거수준이 II인 연구는 4개로 30.8%이며, 근거수준이 III인 연구는 8개로 61.5%로 가장 많았다. 근거수준이 V인 연구는 1개로 전체의 7.7%로 나타났으며 전체 근거 수준에 대한 내용은 Table 3에 제시하였다.

Qualitative evidence level of study

2. 분석대상 연구의 진단군과 평가 영역

분석대상 연구의 대상자의 진단명을 살펴보았을 때, 자폐스펙트럼장애 대상은 2개의 연구로 15.4%이며 지적장애 대상 연구도 2개로 15.4%이다. 발달장애 대상은 7개의 연구로 53.8%로 가장 많으며, 중도 중복장애는 1개의 연구로 7.7%이며 기타는 1개의 연구로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논문이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Diagnostic subject group

분석대상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 연구에서 1 이상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13개의 연구에서 총 20개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다. 이중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는 2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10%이며, 화용언어 평가는 3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15%이다.

사회성 기술에 대한 평가는 5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25%로 가장 높으며, 삶의 질 척도와 자아 관련 평가가 각각 2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10%에 이른다. 또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양육자 체크리스트, 선택하기 기술, 대인관계, 정서지능 등의 평가가 각각 1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평가도구의 수는 1개를 사용한 연구가 6개(46.2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개의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4개로 30.8%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The area of effectiveness testing tools of the research subjects of analysis

3.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내용의 효과

분석대상 연구의 중재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4개이며 30.8%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기술, 연극치료, 화용 중재, 보완대체의사소통이 각각 2개로 15.4%이다. 독서치료 중재 연구는 1개로 7.7%이다. 중재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인 SIG는 5개(38.5%), 평가도구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인 VAR은 2개(15.4%)로 전반적으로 중재에서 효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INC에 해당하는 연구는 5개(38.5%)였으며 중재효과가 전혀 없는 논문은 1개로(7.7%)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6에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intervention contents on social communication

4. ASHA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영역

미국 언어청각협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에서는 언어병리학의 실행 체계 영역에 따라 분석대상 연구를 분류하였다. 협력 영역은 2개로 15.4%이며 치료 영역은 11개, 84.6%로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Table 7에 제시하였다.

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Ⅳ. 논의 및 결론

발달장애인에 대한 국가적 정책의 흐름 맞추어 발달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공교육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표준화된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토콜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 교육 정책 제안을 위하여 사회적 중재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타당한 근거와 제한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최근 5년 동안 출간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를 5개의 국내 데이터베이스(RISS, DBpia, KISS, 교보문고스콜라, E-article)을 통해서 발달장애와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장애와 사회기술, 발달장애와 사회적응 및 발달장애와 화용으로 검색하고 논문을 수집 및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연구 근거의 질적 수준, PICO 방법을 통한 대상자들의 진단군, 중재 내용, 효과,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 ASHA(2016)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체계(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분석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은 92.3%가 근거수준 II(30.8%)와 III(61.5%)으로 높았다. 따라서 연구들은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Arbesman et al., 2008). 체계적 고찰을 통해 강력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분석된 자료의 질적 수준이 중요하다(D’Amico et al., 2010; Jung & Chang, 2012).

연구의 대상자들은 자폐스펙트럼 장애(15.4%), 지적장애(15.4%), 발달장애(53.8%), 중도 중복장애(7.7%)로 발달장애와 발달장애 하위 장애 유형들이 연구의 대상자들이었다. 발달장애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장애는 사회성이나 화용 측면에서는 상이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의사소통교육이 공교육에서 이루어진다면, 교육 활동의 실행 시의 차별적인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학급과 같은 집단에서 소집단, 개별 지도 등의 절충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사용된 총 20개의 평가도구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평가가 사용된 연구는 2개(10%), 화용언어 평가가 사용된 연구는 3개(15%), 사회성 기술에 대한 평가가 사용된 연구는 5개(25%)이며, 삶의 질 척도와 자아 관련 평가가 각각 2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10%에 이른다. 또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양육자 체크리스트, 선택하기 기술, 대인관계, 정서지능 등의 평가가 각각 1개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이처럼,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에서 다양한 검사도구가 사용되었고, 중재방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평가도구가 사용되기도 한 것은 연구중재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도구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거나 설문이나 관찰에 근거해야 하는 등의 객관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연구자들은 문헌에 근거하여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된 검사 도구들을 사용하여 중재에 대한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연구가 4개(30.8%), 사회적 기술, 연극치료, 화용 중재,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는 각각 2개로 15.4%이다. 또한, 독서치료 중재 연구는 1개로 7.7%이다. 사회적 의사소통의 내용들은 사회적 기술, 연극치료, 독서 치료, 보완대체의사소통, 화용 중재 등의 다양한 중재 방법들로 제공되었지만, 각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의사소통과 관련된다. 따라서 사회적 의사소통의 교육을 제안하거나, 표준적인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언어재활사들이 사회적 의사소통의 개념과 중재방법들의 정립이 필요하다. 사회적 의사소통은 발달장애 아동을 지도하는 많은 분야에서 다루고 있는 분야이며, 중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언어재활사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다양한 중재 방법 및 전략, 위계성, 그리고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도구 및 방법들이 정립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자료의 축적은 표준적인 의사소통 교육 안으로 확립될 수가 있을 것이다.

중재의 효과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인 SIG는 5개(38.5%), 평가도구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연구인 VAR은 2개(15.4%)로 전반적으로 중재에서 효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INC 중에서도 평균값을 제시하여 사전ㆍ사후에서 점수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학적 처리를 하지 않아 유의미성이 확인할 수 없는 연구는 4개(30.8%),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안을 제안한 연구가 1개(7.7%)였다. 중재효과가 전혀 없는 논문은 1개로(7.7%)로 나타났다. 임상을 포함하는 영역들에서는 중재 효과 연구가 중요하지만(Gibson et al., 2011),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는 대표성, 객관성, 표준화 등의 측면에서 적절한 평가도구가 부족하여 임상적인 효과를 증명하기기 쉽지 않다. 따라서 중재가 효과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효과성이 현재의 평가도구에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다.

미국 언어청각협회의 언어병리학의 실행 영역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대상 연구들은 치료(84.6%) 협력(15.4%) 영역이었다.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는 다양한 사람들의 협력과 참여가 필요할 수 있는 중재이기 때문에 협력적인 분야의 개발도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중재 연구는 질적 근거 수준이 높았고 효과 검증에서도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었다. 다만, 평가도구의 적절성 부족, 비표준화 등으로 효과성 반영에 어려움이 있다. 앞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의 표준적인 지도안과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사회적 의사소통이라는 용어가 최근에 매우 강조되는 점을 고려하여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표준적인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토콜을 구성하고 이를 사회적 의사소통의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면, 더욱 방대한 문헌의 고찰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Reference

  • Adams, C., & Gaile, J. (2015) The SCIP Manual. UK: Napier Hill Press.
  •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16). Scope of practice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Retrieved from https://speechpathologymastersprograms.com/speech-pathology-careers/asha-scope-of-practice-speech-pathology/
  • Arbesman, M., Sx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 Bedell, J., Lennox, S. S., Smith, A. D., & Rabinowicz, E. F. (1998). Evaluation of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of persons with schizophrenia. Psychiatry Research, 78(3), 197–206. [https://doi.org/10.1016/S0165-1781(98)00018-3]
  • Cheon, C. M., & Kim, H. S. (2016). The effective of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Speech-Language Pathology, 12, 417-420. uci(KEPA):I410-ECN-0101-2018-037-003330914
  • Cho, K. S., & Park, J. K. (2009).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social 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applied to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Science, 27(2), 25-39. uci:G901:A-0005546989
  • Choi, H. Y., Kim, Y. W., Rha, D. W., & Kim, H. H. (2011).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scale-Korean vers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6(3), 388-396. uci:G704-000725. 2011.16.3.008
  • Choi, S. J. (2020). The effective of group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meta-pragmatic competence of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 D’Amico, M., Jaffer, L., & Gibson, R. W. (2010). Mental health evidence i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4), 660-669. [https://doi.org/10.5014/ajot.2010.09180]
  • Fred, R., Rhea, P., Ami, K., & Donald, C. (2005).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3rd ed.). New York: Wiley.
  • Geyh, S., Kurt, T., Brockow, T., Cieza, A., Ewert, T., Omar, Z., & Resch, K. L. (2004). Identifying the concepts contained in outcome measures of clinical trials on stroke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s a refer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4S(uppl), 56-62.
  • Gibson, R. W., D’Amico, M., Jaffe, L., & Arbesman, M. (2011).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recovery in the areas of community integration and normative life roles for adult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3), 247-256. [https://doi.org/10.5014/ajot.2011.001297]
  •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 Pines: American Guidance Service. [https://doi.org/10.1037/t10269-000]
  • Han, D. K. (2016). Drama therapy for schol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 Han, K. L., Baek, K. R., Jo, Y. O., Park, N. Y., Jo, H. W., & Nam, E. W. (2013). Developmen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 program for theme-based cla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Research report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 Harper, D. C. (1978).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hysically impaired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1), 97-103. [https://doi.org/10.1002/1097-4679(197801)34:1<97::AID-JCLP2270340123>3.0.CO;2-H]
  • Huang, X., Lin, J. J., & Demner-Fushman, D. (2006). Evaluation of PICO as a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clinical questions. In Prodeeding of the 2006 Annuals Symposium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November 2006, Washington, D.C.
  • Jang, J. A. (200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the developmental disorder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 Jeon, D. H., Chae, H. T., & Kim, H. K. (2016). Understanding an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oul: Sigmapress.
  • Jeong, H. S., & Choi, Y. M. (2016). The activitie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oul: Hakjisa.
  • Jung, E. O. (2006). A validation of psychological resilience scale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 Jung, N, H., & Chang, M. Y. (2012).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2), 111-126. uci:G704-001654.2012.20.2.010
  • Kim, S. H. (2002).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y o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quality of life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Kim, G. Y. (2016). The research of drama therapy on social skill improvement of development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 Kim, K. H. (1998).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 Kim, Y. R., & Park, J. Y.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6(1), 25-45. [https://doi.org/10.33770/JEBD.36.1.2]
  • Kim, Y. T., Song, S. H., Kim. J, A., & Kim, H. C. (201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Meta-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1), 94-108. [https://doi.org/10.12963/csd.18467]
  • Kim, T. Y. (2008). Children and adolescents’ achievement through the internet game,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 Kong, E. M., & Chae, K. S.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self-express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5(2), 379-394. uci(KEPA):I410-ECN-0102-2019-300-001178029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2019 annual report. Seoul: Author.
  • Kwak, A. D. (2016). The effect of speaking activities with situation on pragmatic competence of school ag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 Lee, H. W. (2021). The effective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Hanyang Cyber University, Seoul.
  • Liberman, R. P., DeRisi, W. J., & Mueser, K. T. (1989). Social skills training for psychiatric patients. New York: Pergamon Press.
  • Moon, S. M.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2), 195-204.
  • Oh, J. Y. (2011). The effects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training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with peers and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Gyenggido.
  • Park, H., & Lee, M. S. (2019). A study on effects of hierarchical daily program on social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8(2), 211-218. [https://doi.org/10.15724/jslhd.2019.28.2.211]
  • Polatajko, H. J., & Cantin, N. (2006). Del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yspraxia): An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art. Seminar Pediatric Neurology, 12(4), 250-258. [https://doi.org/10.1016/j.spen.2005.12.007]
  • Prizant, B. M., & Wetherby, A. M. (2005). Critical considerations in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ies for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F. Volkmar, A. Klin & Paul, R. (Eds.),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3rd ed., pp. 925-945). New York: Wiley. [https://doi.org/10.1002/9780470939352.ch10]
  • Rhea, P. (2003). Promoting social communication in high functioning individual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2(1), 87-106. [https://doi.org/10.1016/S1056-4993(02)00047-0]
  • Shin, S. J., & Han, K. I. (2017).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on the theme-based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of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ocial skills. Korea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60(3), 137-162. [https://doi.org/10.20971/kcpmd.2017.60.3.137]
  • Song, S. H. (2018). The influence of language therapy using emotion speaking program on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and self–esteem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 Song, S. H. (2019). The effective language intervention using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me (SCIP) for school-age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 Tager-Flusberg, H., Paul, R., & Lord, C. (2005).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autism. In F. Volkmar (Ed.),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3rd ed., pp. 335-364). Hoboken: Wiley. [https://doi.org/10.1002/9780470939345.ch12]
  • Walker, H. M., & Sevrson, H. H. (1990). Systematic screening for behavior disorders: User’s guide and technical manual. Sopris West: Longmont.
  • Youne, A. Y. (2020). Effective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oice-making and social skill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using AAC (Master’s thesis). Joongbu University, Gyenggido.
  • Young, E., Diehl, J., Morris, D., Hyman, S., & Bennetto, L. (2005). The use of two language tests to identify pragmatic language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6(1), 62-72.

참 고 문 헌

  • 공은미, 채경선 (2018).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성 발달과 자기표현력 증진 프로그램 연구. 사회복지경영연구, 5(2), 379-394.
  • 곽앵두 (2016). 상황에 맞는 감정 말하기 활동이 학령기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가영 (2016). 연극치료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경희 (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소형 (2002).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의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삶의 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영태, 송승하, 김정아, 김효창 (2018). 한국 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의 개발: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1), 94-108.
  • 김예리, 박지연 (2020).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6(1), 25-45.
  • 김태연 (2008). 아동ㆍ청소년의 인터넷게임을 통한 성취,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문선모 (1980). 인간관계 훈련 집단 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논문집, 19, 195-204.
  • 박현, 이명순 (2019).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 연구, 28(2), 211-218.
  • 송수희 (2018). 감정말하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화용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송승하 (2019). 사회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을 활용한 언어치료가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신수정, 한경임 (2017).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 · 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ㆍ중복 건강장애 연구, 60(3), 137-162.
  • 오자영 (2011). 사회적 문제해결 훈련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또래와 교사의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윤애영 (2020). AAC 활용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선택하기 및 사회성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혜원 (2021).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진아 (2008).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남해, 장문영 (2012).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111-126.
  • 정동훈, 채희태, 김희규 (2016). 지체장애 학생의 이해와 교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 정은옥 (2006). 심리적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희섭, 최윤미 (2016). 장애유아를 위한 AAC 활동. 서울: 학지사.
  • 조근숙, 박중규 (2009). 정신지체 학생에게 적용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이 성과와 한계. 재활과학연구, 27(2), 25-39.
  • 천정민, 김화수 (2016).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 417-420.
  • 최수정 (2020). 집단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메타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혜윤, 김용욱, 나동욱, 김향희 (2011). ‘ASHA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의 한국어판 번안: 청소년용. 언어청각장애연구, 16(3), 388-396.
  • 한경임, 백경란, 조연오, 박나연, 조혜원, 남은후 (2013). 중도 · 중복장애 아동을 위한 주제중심 교과수업용 보완 ㆍ대체 의사소통 앱 개발.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019 연차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동균 (2016). 발달장애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연극치료.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ppendix

PICO description of subject research

Figure 1.

Figure 1.
Correlation between search terms

Figure 2.

Figure 2.
The process of intervention papers retrieval for social communic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Table 1.

Relevance of search terms

Researcher Social adaptation
Harper (1978)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including everyday areas is needed to improv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h (2011)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 to learn social skills more directly and have effective social adaptation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s and teaching strategies
Liberman et al. (1989) Social skills include the ability to express and exchange everyday conversations, attitudes, information, opinions, and emotions in meetings
Researcher Social communication
Bedell et al. (1998) Social communication skills are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that allow people to choose appropriate useful inform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Tager-Flusberg et al. (2005);
Young et al. (2005)
Autism spectrum disabled people have difficulty in social communication.
Adams & Gaile (2015)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me (SCIP) is a program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cognitive areas and the improvement of pragmatic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difficulties in pragmatic use.

Table 2.

Qualitative evidence level

Evidence level Research design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wo group control study, Not random assignment (cohort study, case control study, A comparative stud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Uncontrolled study of one group, Not random allocation
Single subject study, Descriptive study or ase series study
Case study, Expert opinion

Table 3.

Qualitative evidence level of study

Evidence level Research design N (%)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0 ( 0.0)
Two group control study, Not random assignment (cohort study, case control study), A comparative study of two groups before and after 4 (30.8)
Uncontrolled study of one group, Not random allocation 8 (61.5)
Single subject study, Descriptive study or case series study 0 ( 0.0)
Case Study, Expert opinion 1 ( 7.7)
Total 13 (100)

Table 4.

Diagnostic subject group

Subject group N (%)
Autism spectrum 2 (15.4)
Intellectual disability 2 (15.4)
Developmental disability 7 (53.8)
Multiple disabilities 1 ( 7.7)
Etc. 1 ( 7.7)
Total 13 (100)

Table 5.

The area of effectiveness testing tools of the research subjects of analysis

Evaluation N (%)
Note.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e or more evaluation tools were used in a study.
Contents Social communication evaluation 2 (10)
Pragmatic language evaluation 3 (15)
Social skills 5 (25)
School adaptation scale 1 ( 5)
Quality of life scale 2 (10)
AAC 1 ( 5)
Caregiver checklist 1 ( 5)
Selection technique 1 ( 5)
Self-related evaluation 2 (10)
Interpersonal relationship 1 ( 5)
Emotional intelligence 1 ( 5)
Total 20 (100)
Number of evaluation tools 1 6 (46.2)
2 4 (30.8)
3 1 ( 7.7)
4 1 ( 7.7)
None 1 ( 7.7)
Total 13 (100)

Table 6.

The effect of intervention contents on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contents N (%) Effect (%)
SIGa NSb VARc INCd
Note. a SIG=treatment of interest yield significantly better result than control group or pretest; b NS=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groups or pre and post test; c VAR=variable results found; d INC: inclusive results.
Social communication 4 (30.8) 2 (15.4) - 1 ( 7.7) 1 ( 7.7)
Social skills 2 (15.4) - - - 2 (15.4)
Drama therapy 2 (15.4) 1 ( 7.7) 1 ( 7.7) - -
Pragmatic 2 (15.4) 1 ( 7.7) - - 1 ( 7.7)
Biblio therapy 1 ( 7.7) 1 ( 7.7) - - -
AAC 2 (15.4) - - 1 ( 7.7) 1 ( 7.7)
Total 13 (100) 5 (38.5) 1 ( 7.7) 2 (15.4) 5 (38.5)

Table 7.

Framework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Domain N (%)
Collaboration 2 (15.4)
Treatment 11 (84.6)
Total 13 (100)

Appendix 1.

PICO description of subject research

논문제목 저자
(연도)
질적
근거
환자 중재 결과 ASHA의 언어병리학 실행 영역
장애명 실험군/대조군
(인원)
연령 내용 방법 대조 연구설계 평가도구 효과
Note. a SIG=treatment of interest yield significantly better result than control group or pretest; b NS=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between groups or pre and post test; c VAR=variable results found; d INC: inclusive results.
AAC 활용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선택하기 및 사회성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윤애영(2020) II 자폐성
장애
5/5 만8~10세 선택하기(먹고 싶은 간식, 가고 싶은 장소)와 사회성(감정표현) 등을 AAC의 그림카드에서 선택하여 표현하기 주 2회, 회기 당 15분, 총 15회 이상 회기, 1대 1 직접교수 중재
없음
사전/사후 - 선택하기 기술 검사(정희섭, 최윤미, 2013)
- 사회성기술 검사(정희섭, 최윤미, 2013)
- 보완대체의사소통 체크리스트(정동훈 외, 2016)
- VARc
(선택하기 기술의 3영역 중 1영역 SIGa , 사회성 기술의 2영역 중 감정표현 SIGa )
치료
감정말하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화용언어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송수희(2018) II 경도
지적
장애
아동 3명,
청소년 3명/
청소년 3명
아동:
만9~10세
청소년:
만13~16세
사회성향상 + 감정말하기 프로그램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 14회 회기, 3명의 그룹치료 감정
말하기 중재
없음
사전/사후 -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박지혜 외, 2013)
- 자아존중감척도
-사회적 의사소통 SIGa
-자아존중감 NSb
치료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김예리, 박지연(2020) III 발달
장애
13/- 만17~21세 학교 생존 기술 10가지 핵심 사회성 기술(대화기술, 존중협동 기술, 우정기술, 학급참여기술 등) 주 1회, 회기 당 40분, 총 6회, 6명, 7명의 그룹치료 -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 - 사회성 기술 평정 척도(Gresham & Elliott, 1990)
- 담임교사 평정 척도
- INCd 협력
발달장애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연극치료 한동균(2016) III 발달
장애
7/- 만15~17세 연극치료-자신의 이야기를 만들고 역할로 표현하는 연극에 참여하기 주 1회, 회기 당 60분, 총 20회, 7명의 그룹치료 - 사전사후
사례분석
- 청소년 자아탄력성 척도(정은옥, 2006)
- 학교적응 척도(김태연, 2008)
- NSb 치료
사회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me)을 활용한 언어치료가 학령기 고기능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승하(2019) II 자폐
스펙트럼
장애
8/10 만7~10세
만7~12세
SCIP (Adams & Gaile, 2015) 주 2회, 회기 당 60분, 20회기, 50분 개별, 10분 부모 상담 중재
없음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
- 화용언어검사(김영태 외, 2018)
- SCIP 부모 및 양육자 체크리스(SCIP parent report: SCIPPR, Adams & Gaile, 2015)
- VARc
(화용언어능력의 3영역 중 1영역 SIGa , 부모 보고의 3영역 중 2영역 SIGa )
치료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천정민, 김화수(2016) III 발달
장애
19/- 만21.36세 사회적 의사소통 주 1회, 회기 당 90분, 15회기 - 사전/사후 - 의사소통 삶의 질 척도(Choi et al., 2011) - INCd 치료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2021) II 발달
장애
20/15 평균 만13.95/
평균 만13.53세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총 10회기 - 사전/사후 -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 척도(김경회, 1998)
- 사회적능력 척도(Walker & Severson, 1990)
- SIGa 치료
상황에 맞는 감정 말하기 활동이 학령기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화용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곽앵두(2016) III 지적
장애
3/- 만7~9세 상황 감정 중심으로 한 언어적 중재 주 2회, 총 16회기 - 사전/사후 - 구조화된 화용 언어능력 평가(Dore, 1978) - INCd 치료
연극치료를 통한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기술향상연구 김가영(2016) III 발달
장애
10/- 만22~27세 자신과 소통하기, 타인과 소통하기, 이야기 경청하기, 역할극, 스토리텔링 등으로 구성된 사회적 기술 향상 연극 치료 주 1회, 회기 당 12분, 총 12회기 - 사전/사후 - 교사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Gresham and Elliott, 1990)
- 대인관계 변화(문선모, 1980)
- 자기효능감 척도,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척도(김소형, 2002)
- SIGa 치료
위계적 일상생활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박현, 이명순(2019) III 발달
장애
4/- 만15~18세 일정, 자기소개, 전화 및 메일 사용, 동료와 대화 등의 일상 의사소통의 위계화된 프로그램 주 2회, 총 30회 - 사전/사후 -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박지혜 외, 2013) - SIGa 치료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 · 대체 의사소통 중재가중도 ·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신수정, 한경임(2017) III 중도
중복
장애
3/- 만9~10세 주제중심수업 활동Thema AAC(한경임 외, 2013) 2015년 2학기 -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 의사소통자료 분석
- 사회적 기술 평가
- INCd 협력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성 발달과 자기 표현력 증진 프로그램 연구 공은미, 채경선(2018) V - - - 동료와 상호작용, 자기표현, 내적통제, 학교에서의 안정감 내용 프로그램 - - - - INCd 치료
집단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메타화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수정(2020) III 발달
장애
8/- 만6~12세 가족, 학교, 지역에 따른 주제별 참조능력, 대화조율능력의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 16회기 - 사전/사후 - 한국메타화용능력검사 - SIGa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