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29, No. 4, pp.145-156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0
Received 29 Sep 2020 Revised 13 Oct 2020 Accepted 28 Oct 2020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0.29.4.145

임상실습에서 언어치료 전공 학부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황상심1 ; 박은실2, *
1남부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2광주여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Speech-Language Pathology Students’ Expectation of Supervisors During Clinical Practicum
Sang Shim Hwang1 ; Eun Sil Park2, *
1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Nambu University, Professor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wangju Women’s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Eun Sil Park, PhD E-mail : 75peunsil@kwu.ac.kr

Copyright 2020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임상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여 효율적인 슈퍼비전 제공과 임상지도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 학부생을 대상으로 구글 독스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이용하여 응답한 117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슈퍼바이저 기대에 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점수는 평균 3.32점으로 ‘어느 정도 기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학생들은 슈퍼바이저나 학생 요청에 따라 개별 임상미팅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셋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출처 중 ‘본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변인에 따른 기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 차이 분석에서는 주별 임상미팅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 차이 검증에서는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 학년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상 슈퍼바이저’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슈퍼비전의 방법이나 전략 개발과 더불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는 등 임상실습 만족도 및 교수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students' expectations for their supervisors and a effective clinical practicum.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then distributed through Google Docs to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1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xpectations for a supervisor was 3.32 on a 5-point scale. Second, students had high expectations that individual clinical conferences will be held at the request of supervisors or students. Third, personal experience and judgment was the highest source of information that affected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Fourth,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onference experience, the number of clinical conferences per week, and the duration of the clinical conferences. In expectations for individual clinical conference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linical conferences per week. Likewise, in information source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onference experience, the number of clinical conference per week, the duration of the clinical conference, and grades. Finally, the 'clinical supervisor' was the highest factor influencing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Conclusions:

Understanding students' expectations and needs for supervisors is an important part of effectiv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addition to developing supervision methods and strategi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teaching efficiency.

Keywords:

Supervisor, clinical practicum, clinical conferences, expectations for supervisor

키워드:

슈퍼바이저, 임상실습, 임상미팅,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Ⅰ. 서 론

임상실습과 슈퍼비전은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해서 학부와 대학원에서 언어치료 전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주요한 과정이다. 학생들은 언어재활임상관찰을 시작으로 언어진단실습과 언어재활실습 교과 이수를 위해서 많은 시간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한다. 임상실습과 관련된 슈퍼비전에 대하여 미국 언어청각협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2008)에서는 언어치료 분야에서 별개의 실무영역이며, 학생임상가 교육과 언어재활사의 지속적인 전문적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명시하고 있다. 전 세계의 학부 및 대학원에서 언어치료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은 임상실습과정에서 슈퍼비전을 통해 임상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을 받고 있으며, 슈퍼바이저는 학생임상가들을 지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부와 대학원에서도 언어재활임상관찰부터 시작하여 실습교과를 운영하고 있다(Kim et al., 2018). 언어치료 전공에서 임상실무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슈퍼비전 제공과 관련되어 대학과 임상현장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2018). 특히 학생들이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독립적인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임상실무 교육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슈퍼비전에 대한 학생임상가들의 기대와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Taylor et al., 2012) 이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 확인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Dowling, 2001; Dowling & Wittkopp, 1982; Larson, 1981; Oratio et al., 1981; Pickering, 1987; Plexico et al., 2017).

또한 임상실습에서 슈퍼바이저의 특성이 학습자에 해당하는 학생임상가들에게 영향을 끼친다(Plexico et al., 2017). 학습스타일은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세대는 유사한 가치관, 신념, 사고, 도덕관, 학습스타일을 공유하고 있다(Johnson & Romanello, 2005). 현재 대학에서 임상 슈퍼비전을 제공하고 있는 대다수의 슈퍼바이저가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기에 이들에게 교육을 받고 있는 밀레니엄 세대인 학생들과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베이비붐 세대는 근면성실을 강조하고 첨단기술에 서툰 경향이 있으며, 강의 중심의 교과 운영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하여 밀레니엄 세대는 일과 여가의 균형을 선호하고 첨단기술에 익숙하며 학습스타일에 있어서도 협력학습과 경험적인 활동, 그리고 긍정적인 지지와 즉각적인 피드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엄 세대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기대와 요구가 다를 수 있기에 슈퍼비전을 통하여 효율적인 임상지도를 하기 위해서는 학생임상가들의 학습기대와 요구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Sleight, 1985)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지 않을 경우 학생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증대시킬 수 있다(McCrea & Brassuer, 2003).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실습지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Larson(1981)은 슈퍼바이저의 역할, 슈퍼비전 내용, 학생임상가와 의사소통 등을 포함하는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에 대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제의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여러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대하여 Pickering(1987)은 안전하고 활력을 주는 환경을 제공하면서 학생임상가들의 독립성을 장려하고 촉진하는 슈퍼바이저의 능력과 학생들이 교과에서 습득한 전공 이론을 임상과정에 적용시키는데 믿을 수 있는 선생님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Dowling과 Wittkopp(1982)의 연구에서는 슈퍼바이저의 적극적인 문제해결, 슈퍼바이저와 학생임상가 간의 공동적인 협력관계, 강한 책임감이 바람직한 슈퍼바이저의 행동으로 확인되었다. Dowling(2001)은 학생임상가들이 기대하는 슈퍼바이저의 행동에 대하여, 학생들을 지지하고, 자신감을 증대시키며, 정직한 피드백 제공하고, 학생들과 연대의식을 형성하며, 기꺼이 도와주고, 세심하게 반응하면서 학생임상가들의 독립성을 소중히 여기고 칭찬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Oratio 등(1981)은 슈퍼비전 효과와 관련된 예측변수로 상호작용, 존경심, 공감이라고 보고하였다. Larson(1981)의 연구에서는 학생임상가들의 수준에 맞는 슈퍼비전 제공과 의사소통을 기대하고 있었다.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는 학생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임상실습을 시작하는 학생임상가의 경우 슈퍼바이저가 자주 관찰을 하고 직접적인 슈퍼비전을 원하는 경향이 있고 이미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자주 관찰하는 것 보다 실습과정에서 슈퍼바이저와의 협력을 선호하였다(Dowling & Wittkopp, 1982). Larson(1981)의 연구에서도 일부 학생들은 임상실습에서 슈퍼바이저가 많은 감독과 지도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더 많은 독립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렇듯 슈퍼바이저의 역할과 학생임상가들이 기대에 관한 연구가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 슈퍼바이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실습현황과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연구가 대다수 차지하고 있다(Kim, 2019). 관련 연구는 학부 및 대학원생의 임상실습 현황 파악(Pyo, 2017; Kim et al., 2018), 학부생들의 실습만족도(Kim & Shin, 2015; Yoon & Kim, 2013), 슈퍼비전 내용, 소진과 직무만족에 따른 슈퍼비전의 필요성(Han & Lee, 2015), 슈퍼비전 방법(Han, 2014) 등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슈퍼비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 그리고 대학의 임상실습과 언어치료 현장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고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난 이후에 슈퍼바이저를 통해 슈퍼비전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특정 직종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임상실습 슈퍼바이저가 학생들의 임상실무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임상지도를 위해서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임상실습 교육 제공자로서 슈퍼바이저의 특성, 세대 간 학습스타일 등을 고려해야 하며, 학생들이 임상실습과정에서 임상기술과 독립성이 성장해가면서 임상에 대한 요구도 변화하기 때문에 이런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기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언어치료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고 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임상실습 지도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Larson(1981)의 슈퍼바이저 평가 기대 척도를 우리나라 학부 임상실습에 적용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Larson(1981)의 평가척도는 학부와 대학원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조사하여 임상실습 지도에 기여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질문하기, 회의참여, 아이디어 사용 등의 33개의 문항을 통해 학생임상가들이 슈퍼바이저에게 기대하는 행동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특히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는 임상실습 경험 유무와 그 정도, 학년 등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Plexico et al., 2017). 이미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과 다른 기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효율적인 상호작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언어치료 임상실습을 경험하였거나, 임상실습을 시작하는 언어치료학과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슈퍼바이저가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여 효율적으로 슈퍼비전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임상실습을 통한 학생들의 전문가적 자질 향상과 학생지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어떠한가?

둘째,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는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의 슈퍼바이저에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 학부생들의 임상실습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조사하기 위해서 광주ㆍ전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Google Docs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실습과 관련되어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고,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기대 차이, 그리고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건에 부합하는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첫째, 언어재활관찰 교과를 이수하고 언어재활실습이나 언어진단실습을 한 학기 이상 이수한 학생, 둘째, 언어재활관찰 교과를 이수한 이후 언어재활실습이나 언어진단실습을 2020학년 2학기에 이수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articipants' information

본 연구의 대상자 참여 조건에 만족하는 121명의 3, 4학년 학생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 중 역문항과 관련되어 응답이 애매한 4명을 제외하고 11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응답한 학생은 남학생 19명(16.2%), 여학생 93명(83.8%)이었으며, 3학년이 62명(53.0%), 4학년 55명(47.0%)이었다. 학생들 중 언어재활실습이나 언어진단실습 교과를 이수하면서 임상미팅 경험이 있는 학생이 76명(65.0%)이었고 그렇지 않은 학생이 41명(35.0%)이었다. 임상미팅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별 임상미팅 횟수를 조사한 결과 주 1회라고 응답한 학생이 40명(52.6%), 주 2회 29명(38.2%), 주 3회 이상이 7명(9.2%)이었다. 진행된 임상미팅 시간에서는 약 1시간이 49명(64.5%), 약 2시간 22명(28.9%), 약 3시간 이상이 5명(6.6%)로 약 1시간 진행이 가장 많았다.

2. 연구도구

슈퍼바이저에 대한 언어치료 전공 학부생들의 기대를 조사하기 위해서 국ㆍ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Larson(1981)의 연구를 근거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Larson(1981)의 슈퍼바이저 기대 평가척도는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관한 문항 23개,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에 관한 4문항,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를 확인하는 문항 6개 등 전체 33개의 5점 척도 문항과 2개의 개방형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설문지 개발 과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개방형 2개 문항을 제외하고, 정보출처 영향에 관한 문항 1개를 추가하여 33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 참여자의 성별, 학년에 관한 인구통계학적인 정보에 관한 문항과 임상실습과 관련되어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에 관하여 3개 문항을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3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지를 완성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s coefficient alpha 계수를 살펴본 결과 .962이었다.

3. 연구절차

1) 설문 문항개발

연구도구 개발을 위해서 국내외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Larson(1981)의 슈퍼바이저 기대 평가척도를 분석하였다. Larson(1981)의 슈퍼비전에 대한 기대 평가척도는 학부 및 대학원과정 학생임상가들이 슈퍼바이저에게 기대하는 행동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Larson(1981)의 평가문항은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 기대, 슈퍼바이저와 즉각적인 의사소통 기대, 슈퍼바이저의 시연 기대 등에 관해 23개 문항과 슈퍼바이저와 학생임상가 간의 개별 임상미팅 기대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는 4개 문항, 그리고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관해 6문항, 전체 33개의 5점 척도 문항과 2개의 개방형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Larson(1981)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평가척도를 임상실습에서 학부생들의 슈퍼바이저 기대를 조사하는 본 연구목적에 적용하기 위해서 공동연구자와 문항을 번역하여 내용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 임상실습 상황에 맞지 않는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였으며 학생들의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와 관련하여 1개 문항을 추가하였다. 또한 양적연구를 목적으로 본 연구의 의도에 따라 개방형 문항 2개를 제외하였다. 문항은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슈퍼바이저 임상실습에 대한 기대 23개 문항과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에 관한 4개 문항은 5점 척도(1점=아주 조금 기대, 2점=약간 기대, 3점=어느 정도 기대, 4점=상당히 기대, 5점=아주 많이 기대)로 구성하였으며,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임상가들의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관한 6개 문항 또한 5점 척도(1점=아주 많이 영향을 받음, 2점=상당히 영향을 받음, 3점=어느 정도 영향을 받음, 4점=약간 영향을 받음, 5점=아주 조금 영향을 받음)로 구성하였다. 이 중 학생임상가들의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 관한 4개 문항과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대한 6개 문항은 Larson(1981)에 따라 역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차 완성된 설문지는 임상실습 교과에서 슈퍼바이저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학 박사 1인에게 문항의 내용 타당도를 의뢰하였다. 문항 내용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쉽게 서술할 것 등을 제의 받아 공동연구자와 반복적으로 검토한 후 수정ㆍ보완하여 인구통계학적인 정보와 임상실습현황에 관한 5개 문항,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관해 23개, 개별임상 미팅 기대 관한 4개 문항,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관한 6문항, 전체 38개 문항으로 구성하고 Google Docs를 통하여 예비실험을 위한 배포용으로 완성하였다.

2) 예비 실험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학과 학생 3명과 2020학년 2학기 임상실습 교과 수강예정인 학생 3명, 총 6명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은 COVID-19로 인하여 참여자와의 대면 조사와 대면 피드백이 어려워 Google Docs로 개발된 설문지를 SNS로 배포하고 SNS와 전화통화를 통하여 피드백을 받았다. 예비실험을 분석한 결과 역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응답을 순문항 척도로 응답한 사례가 있었으며, 역문항을 순문항 척도로 답할 가능성을 제기하여 개별임상 미팅에 대한 기대와 정보출처 영향에 관한 10개 역문항을 순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또한 Larson(1981)의 평가 척도를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내용 전달이 잘 되지 않은 문항 등에 대한 보완 요청이 있었다. 예비실험에서 제의된 내용을 공동연구자와 수정 보완하고 최종적으로 내용전달의 명확성, 문항 척도, 체크 방식 등을 점검하여 Google Docs로 배포형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3) 본 실험

설문지 배포는 광주ㆍ전남지역 소재 언어치료학과 3, 4학년 학생대표나 학과 교수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여 Google Docs로 완성된 설문지를 SNS를 통해 배포하였다. 설문지 수거를 위해서 Google Docs로 응답 상황을 점검하며 2차례에 걸쳐 응답을 독려하였다. 설문지 배포와 수거는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일주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최종 수거된 설문지는 121개였다. 이 중 역문항과 관련되어 응답이 애매한 4명을 제외하고 11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4. 자료 분석

연구 참여자의 성별, 학년,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시간 등에 대해서 빈도분석을 하였다.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도가 p<.05인 경우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슈퍼바이저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은 3.32점이었으며, 각 문항별 점수 범위는 1~5점이었다.

설문 문항의 척도를 보았을 때 3점이 ‘어느 정도 기대’, 4점이 ‘상당히 기대’에 해당하기에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수준은 ‘어느 정도 기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23개 문항 중, ‘부족한 부분에 대한 논의 기대’ 3.68점, ‘의견을 말할 기회’ 3.61점, ‘전문적인 문제에 귀 기울일 것으로 기대’ 3.57점, ‘치료세션에 대한 정보 제공’ 3.56점 등의 순으로 기대가 높았다. 이에 비하여 ‘제의한 아이디어로 토론’ 3.02점, ‘상하관계’ 3.08점 등의 순서로 기대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Table 2).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슈퍼바이저와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응답한 점수 범위는 각 문항별로 1~5점이었다. 문항별 평균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학생의 요청에 따라’와 ‘슈퍼바이저의 요청에 따라’ 개별 임상미팅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각 3.37점으로 높았으며, ‘실습 기간 내내 매주 마다’ 개별 임상미팅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2.88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를 볼 때 학생들은 슈퍼바이저나 학생 요청에 따른 개별 임상미팅 기대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실습기간 내내 매주 슈퍼바이저와 개별 임상미팅을 할 것이라는 기대는 낮았다(Table 3).

Expectations of student clinicians for individual conference with supervisors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친 정보출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응답한 점수 범위는 각 문항별로 1~5점이었으며, ‘본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 이 가장 높았고 ‘대학원생 임상가’의 영향이 가장 낮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 3.21점, ‘교과 과정’ 3.18점, ‘임상 슈퍼바이저’ 3.08점, ‘임상실습 매뉴얼’ 3.05점, ‘동료 집단’ 2.99점, ‘대학원생 임상가’의 영향이 2.34점 순이었다(Table 4).

Sources of information that influenced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2. 변인에 따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차이와 예측 요인

학년, 성별,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 변인에 따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상미팅 경험 유무(t=2.06, p<.05), 임상미팅 진행 시간(t=-2.06, p<.05), 주별 임상미팅 횟수(t=2.95, p<.05), 학년(t=-2.15,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able 5).

Differences in expectations of student clinicians for supervis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임상미팅 경험 유무의 경우 임상미팅을 경험한 학생들의 기대가 3.43점,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3.12점으로 임상미팅을 경험한 학생들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더 높았다. 임상미팅 진행 시간 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에서는 약 1시간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이 3.26점, 약 2시간 참여한 학생들은 3.62점으로 임상미팅 참여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더 높았다. 임상미팅 횟수에서는 일주일에 1회 참여한 학생들이 3.62점, 2회 참여한 학생들은 3.09점으로 참여횟수가 적은 학생들의 기대가 높았다. 학년에서는 3학년이 3.19점, 4학년이 3.47점으로 4학년 학생들의 기대가 높았다. 성별(t=-.46)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5).

배경변인에 따른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학생임상가들의 기대 차이를 비교한 결과 주별 임상미팅 횟수(t=2.33,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주 1회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의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가 주 2회 참여한 학생들에 비하여 높았다. 성별(t=-.90), 임상미팅 경험 유무(t=.22), 임상미팅 진행 시간(t=-.93), 학년(t=-.52)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6).

Differences in expectations for individual con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학생임상가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대하여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임상미팅 경험 유무(t=4.06, p<.001), 임상미팅 시간(t=-2.22, p<.05), 주별 임상미팅 횟수(t=2.56, p<.05), 학년(t=-3.7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실습 경험 유무에서는 경험한 학생들이 3.19점, 그렇지 않은 학생은 2.55점으로 나타나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여러 정보출처를 통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미팅 진행 시간에서는 약 1시간 참여한 학생보다 약 2시간 참여한 학생들이 영향을 받은 정도가 높았다. 임상미팅 횟수에서는 주 2회보다 1회에서, 학년에서는 3학년보다 4학년에서 높았다. 성별(t=-.33)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able 7).

Differences in sources of information that influenced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임상가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회귀모형의 유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산분석 통계량 F값이 38.127이고 p값이 .001보다 작으므로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회귀분석은 회귀모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는 방법으로 회귀계수 절대값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응답자의 배경정보와 관련된 변인(학년, 성별, 임상미팅 경험 유무, 임상미팅 진행 시간, 주별 임상미팅 횟수)과 슈퍼바이저 기대에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관한 변인(동료 집단, 대학원생 임상가, 임상 슈퍼바이저, 교과 과정, 임상실습 매뉴얼,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단계적 선택방법을 통하여 유의한 변수만을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모형의 결정력을 설명하는 결정계수가 .390으로 나타났다(Table 8).

Factors affecting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또한 표준화 계수를 통하여 학생들의 기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임상 슈퍼바이저(.372)’가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356)’이었다(Table 8).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언어재활사의 직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슈퍼비전의 발전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첫째, 언어치료 전공 3, 4학년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살펴본 4번 문항부터 26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점수는 평균 3.32점으로 ‘어느 정도 기대’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점수는 Kim과 Shin(2015)의 연구에서 언어치료 전공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 평균인 3.89점보다 다소 낮았으며, Yoon과 Kim(2013)의 연구에서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실습지도 및 감독 상태에 대한 만족도 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과 Shin(2015), Yoon과 Kim(2013)의 연구에서는 언어재활실습을 이수한 즉,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아직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적인 요소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슈퍼바이저와의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살펴본 27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요청에 따라’와 ‘슈퍼바이저의 요청에 따라’ 개별 임상미팅이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가 각 3.37점으로 높았으며, ‘실습 기간 내내 매주’가 2.88점으로 가장 낮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슈퍼바이저나 학생 요청에 따라 개별 임상미팅이 진행될 것으로 많은 기대를 하고 있었다. 임상실습의 목적 중 하나로 학생의 요구에 맞는 적절한 지도, 개별화된 활동을 들 수 있다(Shin & Kim, 1999). 슈퍼바이저는 학생들이 개인적이고 전문적 기술과 행동방향을 잘 습득할 수 있도록(Kim & Jung, 2006) 학생 개별화 맞춤지도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출처를 살펴본 28번 문항을 분석한 결과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는 ‘본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이 가장 높았고 ‘대학원생 임상가’의 영향이 가장 낮았다. 대학원생 임상가의 영향이 낮다는 것은 사실상 대학원생과 학부생과의 임상실습 교류가 미비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재학하는 학교의 경우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언어재활 현장 경험이 있는 대학원생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학부생들의 임상실습 능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언어재활 경험이 없는 학생임상가의 입장에서는 실습에 필요한 기술과 능력이 서비스 받는 대상자에 따라 다르고 이에 필요한 기술이나 대처 방안, 치료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알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다시 말해, 실습은 임상경험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론적인 수업의 교수와 교재보다는 임상감독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Kim & Lee, 2009). 임상감독자의 자격과 역할, 능력에 따라 학생임상가가 쌓아가는 임상경험의 양과 질이 현저하게 다를 수 있으므로(Kim et al., 2018) 슈퍼비전에서 임상감독자 즉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무엇보다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슈퍼비전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임상가의 임상능력을 향상시키고 치료 대상자에 대한 치료 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슈퍼바이저는 학생임상가들의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Kim, 2019).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슈퍼비전 과정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과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 확인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학생임상가들의 기대와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Larson, 1981; Tayleor et al., 2012). Yoon과 Kim(2013)의 연구에서도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언어재활실습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실습환경이나 실습시기 보다도 실습지도 및 감독 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언어재활실습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임상실습에서 실습지도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교수변인이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Kim & Jung, 2006; Shin & Kim, 1999; Sung et al., 2007). 본 연구의 슈퍼바이저 기대에 대한 문항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효율적인 슈퍼비전을 제공하여 언어재활실습에 대한 만족도 제고 및 학생임상가들의 전문가적 자질향상과 효율적인 학생지도에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2) 변인에 따른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 차이와 예측 요인

첫째, 학년, 성별,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 등 변인에 따른 슈퍼바이저 기대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년, 임상미팅 경험 유무, 주별 임상미팅 횟수, 임상미팅 진행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의 경우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 보다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미팅 경험 유무의 경우 임상미팅을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별 임상미팅 횟수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이 2회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미팅 진행 시간의 경우 약 2시간 이상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이 약 1시간 참여한 학생들 보다 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임상미팅 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4학년 학생들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가 낮은 집단인 임상미팅 경험이 없는 3학년 학생들 보다 슈퍼바이저 기대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것으로 임상미팅 경험을 통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와 만족도가 다소 상승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임상미팅 경험이 있는 76명을 대상으로 주별 임상미팅 횟수와 임상미팅 진행 시간 변인에 따라 슈퍼바이저 기대에 대한 차이검증을 살펴보았다. 임상미팅은 일주일에 2회 보다는 1회, 그리고 임상미팅 진행 시간은 1시간 보다는 2시간 참여한 학생들의 기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미팅 횟수는 일주일에 1회, 임상미팅 진행 시간은 약 2시간 정도 진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더 적절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별 임상미팅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주 1회 임상미팅에 참여한 학생들의 개별 임상미팅에 대한 기대가 주 2회 참여한 학생들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미팅 경험 유무, 임상미팅 진행 시간, 학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슈퍼바이저 기대에 대해 영향을 준 정보출처에 대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을 한 결과 ‘임상미팅 경험 유무, 임상미팅 진행 시간, 주별 임상미팅 횟수,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미팅을 경험한 학생들이, 임상미팅 진행 시간은 약 2시간 참여한 학생들이, 임상미팅 횟수에서는 일주일에 1회 참여한 학생들이, 학년에서는 4학년 학생들이 여러 정보출처를 통해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임상가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임상 슈퍼바이저’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Kim과 Shin(2015)의 연구에서는 언어치료 전공 학생의 임상실습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임상실습 만족도와 교수효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특히 대상자 특성과 임상실습 만족도 및 교수효율성 간 상관,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 간 상관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언어치료 임상실습에서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교수효율성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임상실습 슈퍼비전 과정에서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언어치료 분야에서의 슈퍼비전은 임상실습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부분이다(Kim & Lee, 2009; Kim, 2019). 슈퍼비전은 감독자 특성, 수련생 특성, 슈퍼비전 과정, 대상자의 특성, 평가 및 중재 과정의 요소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Kim & Kim, 2008). 최근에는 슈퍼비전의 방법이나 모델을 제시하면서 슈퍼비전 방법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유형이나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다(Han & Lee, 2015; Kim & Lee, 2015; Kim & Shin, 2015). 이러한 슈퍼비전의 방법이나 전략 개발과 더불어 언어치료 전공학생들의 슈퍼바이저에 대한 기대를 파악하여 언어치료 전공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및 교수효율성 제고에 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하겠다.

Reference

  •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ASHA]. (2008). Clinical supervision in speech-language pathology [Position Statement]. Retrieved from www.asha.org/policy, .
  • Dowling, S. (2001). Supervision: Strategies for successful outcomes and productivity. Needham Heights: Allyn and Bacon.
  • Dowling, S., & Wittkopp, J. (1982). Students’ perceived supervisory need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5(4), 319-328. [https://doi.org/10.1016/0021-9924(82)90014-4]
  • Han, J. Y. (2014).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ractions between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clients according to speech therapy goals: The boone-prescott system for clinical supervisio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3(4), 135-145. [https://doi.org/10.15724/jslhd.2014.23.4.012]
  • Han, Y. J., & Lee, S. A. (2015). Needs analysis of supervision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Focusing on the degree of demand on education content,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3), 149-160. [https://doi.org/10.15724/jslhd.2015.24.3.012]
  • Johnson, S. A., & Romanello, M. L. (2005). Generation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Nurse Educator, 30(5), 212-216. [https://doi.org/10.1097/00006223-200509000-00009]
  • Kim, J. H. (2019). Literal review of clinical practice supervision for speech language patholog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8(3), 93-103. [https://doi.org/10.15724/jslhd.2019.28.3.093]
  • Kim, J. O., Choi, S. H., Kim, H. H., Chang, S. A., Kim, H. J., Hwang, B. M., . . . Park, H. J. (2018). A nationwide survey on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in speech-language pathology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 807-828. [https://doi.org/10.12963/csd.18510]
  • Kim, J. S., & Jung, Y. H. (2006). A study on correlation of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in Daeg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28(1), 121-142.
  • Kim, J. Y., & Kim, K. W. (2008). A review on counseling supervision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1(4), 1-22. uci:G704-SER000000779.2008.11.4.007
  • Kim, S. H., & Lee, J. Y. (2015). A comparative study of the need for prerequistite subjects for clinical observation between speech therapy students and supervisor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4), 9-16. [https://doi.org/10.15724/jslhd.2015.24.4.002]
  • Kim, S. J., & Lee, S. H. (2009).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linical skill-based curriculum model for speech therap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4), 413-428. uci:G704-000725.2009.14.4.009
  • Kim, S. Y., & Shin, M. S. (2015). A study of the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practice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4), 17-31. [https://doi.org/10.15724/jslhd.2015.24.4.003]
  • Larson, L. C. (1981). Perceived supervisory needs and expectations of experienced vs. inexperienced student clinicians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Indiana.
  • Lee, S. A. (2018).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a language diagnosis practice.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7(4), 137–144. [https://doi.org/10.15724/jslhd.2018.27.4.137]
  • McCrea, E. S., & Brasseur, J. A. (2003). The supervisory proces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Boston: Allyn and Bacon.
  • Oratio, A. R., Sugarman, M., & Prass, M. (1981). A multivariate analysis of clinicians’ perceptions of supervisory effectivenes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4(1), 31-42. [https://doi.org/10.1016/0021-9924(81)90044-7]
  • Pickering, M. (1987). Supervision: A person focused process. In M. Crago & M. Pickering (Eds.), Supervision in human communication disorders: Perspectives on a Process. (pp. 107-133). Boston: College-Hill.
  • Plexico, L. W., Plumb, A. M., & Phillips, D. E. (2017). Speech-language pathology student anxiety, expectations, and needs during clinical practicum. Teaching and Learning i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 [https://doi.org/10.30707/TLCSD1.2Plexico]
  • Pyo, H. Y. (2017). A survey on clinical practicums in graduate school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 837-850. [https://doi.org/10.12963/csd.17427]
  • Shin, K. R., & Kim, M. A. (1999). A study of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3(1), 289-317.
  • Sleight, C. C. (1985). Confidence and anxiety in student clinicians. The Clinical Supervisor, 3(3), 25-48. [https://doi.org/10.1300/J001v03n03_04]
  • Sung, H. K., Lee, K. S., & Hwang, J. S. (2007). A study on correlation of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29(1), 59-72.
  • Taylor, K., White, E., Kaplan, R., & O’Rourke, C. M. (2012). The supervisory proces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Graduate students’ perspective. Perspectives on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22(2), 47-54. [https://doi.org/10.1044/aas22.2.47]
  • Yoon, J. H., & Kim, J. W. (2013).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the clinical practicum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2(4), 251-270. [https://doi.org/10.15724/jslhd.2013.22.4.014]

참 고 문 헌

  • 김선희, 이지윤 (2015). 언어재활전공 학생들과 임상감독자들 간의 언어임상관찰 선수교과에 대한 필요도 비교 연구. 언어치료연구, 24(4), 9-16.
  • 김수진, 이수향 (2009). 언어치료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및 적용. 언어청각장애연구, 14(4), 413-428.
  • 김시영, 신명선 (2015). 언어치료 전공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및 교수효율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4(4), 17-31.
  • 김재옥, 최성희, 김향희, 장선아, 황보명, 박현린, 박희준 (2018).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3(3), 807-828.
  • 김정숙, 정영해 (2006).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대한치과기공학회지, 28(1), 121-142.
  • 김지연 (2019). 언어치료 수퍼비전에 대한 문헌 연구. 언어치료연구, 28(3), 93-103.
  • 김지연, 김광웅 (2008). 국내의 상담 수퍼비전 연구 고찰. 놀이치료연구, 11(4), 1-22.
  • 성환경, 이규선, 황재선 (2007).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교수 효율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치과기공학회지, 29(1), 59-72.
  • 신경림, 김미애 (1999).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3(1), 289-317.
  • 윤지혜, 김정완 (2013). 언어치료 전공 학생들의 언어재활실습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 언어치료연구, 22(4), 251-270. [https://doi.org/10.15724/jslhd.2013.22.4.014]
  • 이선아 (2018). 언어진단실습 교과의 거꾸로 수업 교수법 적용 사례 연구. 언어치료연구, 27(4), 137-144.
  • 표화영 (2017). 언어치료프로그램 대학원 석사과정의 언어진단 및 언어재활실습 현황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2(4), 837-850.
  • 한유진, 이선아 (2015). 언어재활사를 위한 수퍼비전 요구 분석: 교육내용 요구도, 심리적 소진과 직무 만족을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4(3), 149-160.
  • 한지연 (2014). 언어치료 목표 달성에 따른 언어재활사와 치료 대상자 간 상호작용 비교 연구: 언어치료 임상 감독을 위한 Boone-Prescott 체계를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3(4), 135-145.

Appendix

Questionnaire

1. 해당 학년에 체크하세요.

① 3학년    ② 4학년

2. 성별에 체크하세요.

① 여    ② 남

3. 임상미팅 경험 유무에 대해 체크하세요(‘예’를 선택한 경우 3-1번 문항부터,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 4번 문항부터 응답해 주세요).

① 예    ② 아니오

3-1) 1주일 동안 임상미팅 횟수는?

① 1회    ② 2회    ③ 3회 이상

3-2) 1회 임상미팅 진행 시간은?

① 약 1시간    ② 약 2시간    ③ 약 3시간 이상

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

Classification n (%)
Gender Male 19 (16.2)
Female 98 (83.8)
Grades 3rd grade 62 (53.0)
4th grade 55 (47.0)
Practicum or not Yes 76 (65.0)
No 41 (35.0)
Conference time per week 1 hour per week 49 (64.5)
2 hour per week 22 (28.9)
Over 3 hour per week 5 ( 6.6)
Number of conferences per week One time per week 40 (52.6)
Two times per week 29 (38.2)
Over three times per week 7 ( 9.2)

Table 2.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Items Range M (SD)
Set goals for clients 1~5 3.12 (1.13)
Discuss to improve materials 1~5 3.19 (1.04)
Motivate me for my highest potential 1~5 3.26 (1.13)
State the objectives 1~5 3.09 (1.19)
Pay attention to what I are say 1~5 3.53 (1.10)
Ask many questions 1~5 3.14 (1.04)
Use supervisee’s ideas 1~5 3.02 ( .98)
Function as teachers 1~5 3.42 (1.09)
Listen to clinical needs 1~5 3.36 (1.02)
Discuss weaknesses 1~5 3.68 (1.05)
Provide information on clinical sessions 1~5 3.56 (1.00)
Listen to professional problems 1~5 3.57 (1.03)
Meet immediately after therapy 1~5 3.13 (1.10)
Be the superiors and the subordinate 1~5 3.08 (1.06)
Make value judgments on clinical behavior 1~5 3.34 ( .98)
Give suggestions on therapy techniques 1~5 3.36 (1.00)
Be supportive 1~5 3.32 (1.09)
Be focused on clients’ behaviors rather than on my behavior 1~5 3.26 ( .86)
Give a rationale for their statements 1~5 3.38 ( .92)
Demonstrate clinical techniques 1~5 3.44 ( .99)
Freely express opinions 1~5 3.61 ( .97)
Discuss potential clinical techniques 1~5 3.41 ( .98)
Listen to personal problems 1~5 3.26 (1.10)
Mean (SD) 3.32 ( .77)

Table 3.

Expectations of student clinicians for individual conference with supervisors

Variation Range M (SD)
Weekly throughout practicum 1~5 2.88 (1.10)
Weekly at beginning and end practicum 1~5 3.04 (1.12)
At your request 1~5 3.37 (1.08)
At supervisor’s request 1~5 3.37 (1.02)

Table 4.

Sources of information that influenced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Variation n Range M (SD)
Peer groups 117 1~5 2.99 (1.15)
Graduate student clinicians 117 1~5 2.34 (1.18)
Clinical supervisors 117 1~5 3.08 (1.21)
Academic courses 117 1~5 3.18 (1.11)
Practicum manual 117 1~5 3.05 (1.06)
Personal experience and judgment 117 1~5 3.21 (1.11)

Table 5.

Differences in expectations of student clinicians for supervis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Variation n M (SD) t
*p<.05
Practicum or not Yes 76 3.43 (.78) 2.06*
No 41 3.12 (.72)
Conference time per week 1 hour per week 40 3.26 (.79) -2.06*
2 hours per week 36 3.62 (.73)
Number of conferences per week One time per week 49 3.62 (.73) 2.95*
Two times per week 27 3.09 (.77)
Gender Female 98 3.32 (.74) -.46
Male 19 3.33 (.95)
Grades 3rd grade 62 3.19 (.71) -2.15*
4th grade 55 3.47 (.82)

Table 6.

Differences in expectations for individual con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Variation n M (SD) t
*p<.05
Practicum or not Yes 76 3.17 ( .82) .22
No 41 3.14 ( .94)
Conference time per week 1 hour per week 40 3.09 ( .73) -.93
2 hour per week 36 3.27 ( .91)
Number of conferences per week One time per week 49 3.33 ( .85) 2.33*
Two times per week 27 2.88 ( .68)
Gender Female 98 3.13 ( .83) -.90
Male 19 3.32 (1.00)
Grades 3rd grade 62 3.12 ( .82) -.52
4th grade 55 3.20 ( .91)

Table 7.

Differences in sources of information that influenced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Variation n M (SD) t
*p<.05, ***p<.001
Practicum or not Yes 76 3.19 (.82) 4.06***
No 41 2.55 (.79)
Conference time per week 1 hour per week 40 3.00 (.77) -2.22*
2 hour per week 36 3.41 (.84)
Number of conferences per week One time per week 49 3.37 (.83) 2.56*
Two times per week 27 2.88 (.73)
Gender Female 98 2.96 (.85) -.33
Male 19 3.03 (.95)
Grades 3rd grade 62 2.70 (.79) -3.72***
4th grade 55 3.27 (.85)

Table 8.

Factors affecting student clinicians' expectations for supervisors

Predictor B SE β t
***p<.001
Constant 1.806 .184
Clinical supervisors .237 .054 .372 4.403***
Personal experience and judgment .247 .059 .356 4.211***
F=38.127(p<.001) Adj. R2=0.390

Appendix 1.

Questionnaire

임상실습에서 슈퍼바이저에 대한 학생임상가의 기대 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은 언어치료 전공 학부생들이 임상실습 슈퍼비전이나 임상을 지도하는 슈퍼바이저(임상실습교수 혹은 임상감독자)에 대한 기대ㆍ생각 등을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조사결과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으며, 조사에 응답한 학생들의 개인정보와 익명성이 보장됨을 알려드립니다. 언어치료 전공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번거로우시더라도 모든 문항에 성실히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언어치료학과 3학년 학생(혹은 임상실습을 시작하는)들은 앞으로 참여하게 될 임상미팅에서 학생임상가로서 슈퍼비전에 대한 자신의 기대 정도에 대하여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언어치료학과 4학년 학생(혹은 임상실습을 1학기 이상 이수한)들은 자신의 임상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슈퍼비전에 대한 자신의 기대 정도에 대하여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응답시간은 약 5분 정도 소요되며, 귀한 시간을 내어주신 것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Ⅰ. 각 문항을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Ⅱ. 각 문항을 읽고 슈퍼비전에 대한 귀하의 기대 수준을 가장 잘 나타내는 숫자에 체크하세요.
 
문항 내용 아주 조금 기대 약간 기대 어느 정도 기대 상당히 기대 아주 많이 기대
4 슈퍼바이저가 치료 대상자의 목표 설정을 도와 줄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5 슈퍼바이저가 임상미팅에서 치료 활동 자료(치료매체)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6 귀하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슈퍼바이저가 동기를 부여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7 임상미팅에서 귀하의 치료 사례에 대하여 설명(발표) 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8 슈퍼바이저가 귀하와 이야기 할 때마다 귀하가 말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9 귀하는 임상미팅 중에 질문을 많이 할 것인가요?
10 임상미팅 중에 슈퍼바이저는 귀하가 제의한 아이디어로 토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11 슈퍼바이저는 귀하를 가르치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12 귀하는 자신의 요구사항을 슈퍼바이저에게 알릴 건가요?
13 슈퍼바이저는 임상실습에서 귀하의 부족한 점에 대하여 말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14 임상미팅 시간에 슈퍼바이저에게 귀하의 치료세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생각인가요?
15 슈퍼바이저는 귀하가 고민하는 진단평가, 치료 등의 전문적인 문제에 기꺼이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16 치료세션이 끝난 후 즉시 슈퍼바이저가 귀하와 대화 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17 슈퍼바이저가 상관이고 귀하는 슈퍼바이저에 종속되는 관계라고 생각하나요?(상관과 부하의 관계)
18 귀하는 임상실습에서 자신의 임상행동에 대해 가치 판단을 할 것으로 생각하나요?
19 슈퍼바이저가 귀하의 다음 임상 세션에서 사용할 치료 기술에 대하여 제안을 할 것으로 기대하나요?
20 슈퍼바이저가 귀하를 지지해 줄 것이라 기대하나요?
21 임상미팅에서 슈퍼바이저와의 논의는 귀하의 임상행동보다도 치료대상자의 행동에 초점을 둘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22 슈퍼바이저가 임상미팅에서 학생임상가들에게 제공하는 임상적인 설명이나 제안에 대하여 학생임상가들에게 근거를 제시 할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23 슈퍼바이저는 귀하의 임상 수행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시연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나요?
24 슈퍼바이저는 귀하가 의견을 말할 기회를 줄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25 슈퍼바이저는 귀하가 실시하지 않은 임상기술이나 향후 수행될 수 있는 임상기술에 대하여 생각해보도록 할 것 같나요?
26 슈퍼바이저가 귀하의 개인적인 문제에 기꺼이 귀를 기울일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27 슈퍼바이저가 얼마나 자주 귀하와 개별 임상미팅을 할 것이라 기대하나요?
27-1 실습기간 내내 매주 마다
27-2 실습 시작 주와 실습 종료 주에
27-3 귀하의 요청에 따라
27-4 슈퍼바이저의 요청에 따라
 
 Ⅲ. 4~7번까지 귀하의 문항 응답에 영향을 끼친 정보출처에 대하여 그 정도를 표시해 주세요.
 
문항 내용 아주 조금 기대 약간 기대 어느 정도 기대 상당히 기대 아주 많이 기대
28-1 동료 집단(학생임상가)
28-2 대학원생 임상가(귀하보다 수준이 높은)
28-3 임상 슈퍼바이저
28-4 교과 과정
28-5 임상실습 매뉴얼
28-6 본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판단
28-7 이 외에 영향을 받은 요인이 있다면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