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0, No. 1, pp.115-123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an 2021
Received 31 Dec 2020 Revised 17 Jan 2021 Accepted 29 Jan 2021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1.30.1.115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신명선1 ; 김효정2 ; 장현진1, *
1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교수
2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municative Ability
Myung Sun Shin1 ; Hyo Jung Kim2 ; Hyun Jin Chang1, *
1Dept. of Speech and Hearing Therapy,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rofessor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osin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Hyun Jin Chang, PhD E-mail : changhj26@cup.ac.kr

Copyright 2021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유치, 초ㆍ중ㆍ고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인식정도를 조사하고, 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중요도나 수행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 요소들 중 더 강화해야 할 것과 유지해야 할 것 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전국의 유치, 초ㆍ중ㆍ고등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구어 및 언어 관련 영역 5개 영역 14문항과 전반적 의사소통 관련 영역 5개 영역 19문항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결과:

교사들은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조음능력, 해석능력, 비언어능력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조음능력에 대한 수행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비언어능력, 역할수행능력, 메시지전환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중요도와 수행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교사들이 남자교사보다 음성, 비언어, 역할수행능력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고, 20대 교사보다는 30대, 40대, 50대 교사들의 조음과 유창성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유치원이나 초등교사보다 고등교사가 몇몇 의사소통관련 요소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별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중요도가 높은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수행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사들의 의사소통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이 높게 나타나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요소들 중 계속 유지 관리가 필요한 요소와 중요도 수준에 맞게 개선이 필요한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ve skills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reas to be strengthened and maintained among communicative skill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eacher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a total of 144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The 5-point scal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3 questions, with 14 questions in five areas related to speech and language, and 19 questions in five areas related to overall communication.

Result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in articulation, interpretation, and non-verbal ability. Except for non-verbal, role performance,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remaining skills. Female teac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teachers in the performance of voice, non-verbal, and role performa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ir articulation and fluency skills, teachers in their 30s, 40s, and 5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20s.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ome communication skills higher than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metrics, the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high importance was also high.

Conclusions: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indicating that the interest in communication was high.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ustomized measur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eachers can be proposed.

Keywords:

Variables related to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of teacher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키워드: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중요도-실행도 분석

Ⅰ. 서 론

‘그 나라의 미래를 보려면 학교를 가보라’ 하는 말이 있는 것처럼 학교 교육은 나라의 미래를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 학교는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필요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고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돕는 교육을 함으로써 개인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교육은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의사소통은 학생의 학습적 교육뿐만 아니라 학생의 인격형성, 정서적 안정 및 사회화 등 학생들의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Kang, 2017; Patterson et al., 1993), 교사는 의사소통능력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해야 한다.

의사소통능력은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여 상호 간의 이해와 공감을 얻어내는 능력이기 때문에,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할 경우 자신의 의도가 잘못 전달되어 상대방과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의 발생은 대인관계에 관한 자신감을 결여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Park & Oh, 2017). 즉,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상호 간의 공통적 이해가 중심이 되며 사회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Hwang & Yun, 2016; Kim, 2018). 또한 의사소통은 사회생활에서도 필요하지만, 특히 학교 환경에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도 빼놓을 수 없는 대인관계 활동이다. 의사소통능력은 교사로서 학습지도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및 또래 인간관계 지도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능력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 전문가들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부족한 영역과 강화할 영역들을 밝힘으로써 현장에서 더 나은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뒷받침이 되고 있다. 공학영역에서는 공학도들이 전반적으로 의사소통능력이 낮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 불안과 부적 상관이 있고, 논쟁성향, 자기효능감, 리더십, 자기효능감, 팀활동 등과는 정적상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Hwang & Yoon, 2016). 간호영역에서는 간호사들이 일반인들보다 의사소통 관련 관심도가 높고 의사소통 관련 많은 교육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임상현장에서 환자, 보호자, 그리고 의료진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주장행동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나이가 어리고 경력이 짧으며 직무만족도가 낮은 간호사들이 그렇지 않은 간호사들에 비해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을 낮게 인지한다는 연구도 있었다(Kim & Lee, 2014). 작업치료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인관계능력과 의사소통능력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Lee, 2013).

이러한 분야들과 같이 교사들의 경우도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학교조직효과성, 교사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학교폭력예방 및 대처능력 등과 밀접한 상관이 있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Han, 2018; Hwang, 2015; Lee, 2016).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의 전문화와 질적 향상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교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 함양은 학생과 신뢰 관계를 유지하게 하여 직무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수행능력이 높고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ung, 2016; Kim, 2016). 이와 같이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은 상호순환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현재 고등교육 분야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에도 의사소통역량이 포함되어있다(Jung, 2017; Kim, 2018). 이와 같이 의사소통능력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사들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의사소통에 어려움과 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Shin, 2015; Park et al., 2013).

교사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을 교사들이 처한 특정 상황에서 학생 및 교원들과 생각, 감정,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의사소통의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정의하고, 하위 요소로 해석능력, 목표설정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메시지전환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살펴보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Jung, 2016; Trenholm & Jensen, 2004). 그러나 언어치료학 분야에서 의사소통은 수행 측면을 강조하며 의사소통능력을 조음능력, 음성능력, 유창성능력 및 어휘능력, 구문능력 및 화용능력과 관련된 언어적 요소와 운율적 변화와 제스처 등과 관련된 준ㆍ비언어적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행동, 정서 및 인지적 요소를 포함한 태도적 측면 즉 자신감 있게 말하는 태도와 청자의 주의를 끌거나 신뢰감을 주는 태도 등은 의사소통능력의 기타 요소로 간주하기도 한다(Shin, 2015; Shin & Kim, 2019).

교사는 교육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교육과정을 매개로 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직업이다.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호 간에 능동적인 언어적 요소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과정 중에 교사들은 장시간의 발성과 고강도, 비일상적인 음도 수준,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긴장, 불완전한 성대 근육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Park, 2004; Park, 2014). 따라서 교사들은 원활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을 포함한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어휘를 사용, 적절한 발음, 적절한 속도, 적절한 음도, 강도를 기반으로 소통해야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능력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게 된다면 수업 내용 전달이 보다 명확해지고 학생 간, 교원 간에도 의사소통능력이 증진될 수 있다.

교사의 역할은 교수학습 지도, 교수학습 평가, 학생 지도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 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등이 있으며, 이러한 모든 과정의 수행은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강의와 상담이 주요한 직무라고 보았을 때 지식과 사고를 어떻게 전달하는 가가 매우 중요하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인 의사소통능력이 어떠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요소가 더 중요한지, 어떤 요소를 더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측정을 할 수 있다면 각 요소를 계속 유지하거나 더욱 보강하는 등의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renholm과 Jensen(2013)의 의사소통능력 모델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을 의사소통 관련자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의미를 부여하여 해석능력, 사회적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는 역할수행능력, 자신의 가치 있는 이미지를 드러내 보이는 자기제시능력, 의사소통 목표를 전략적으로 수립하는 목표설정능력,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메시지전환능력 요소로 나누고, 언어치료적 관점에서 조음능력, 음성능력, 유창성능력 등의 구어능력, 언어능력, 비언어능력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의사소통 수행 정도를 근거로 다차원적 의사소통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 화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좋은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설문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관련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를 선행연구에 제시된 의사소통능력 모델과 연결하여 다차원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프로파일(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Skill Analysis Profile: MCSAP)의 항목을 개발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다차원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프로파일의 각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교사 중심의 다차원적 의사소통능력 분석 프로파일이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증진뿐만 아니라 직무 효율화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의 의사소통능력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별 중요도와 수행도는 어떠한가?

둘째, 대상자 특성에 따라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교급별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대전 충남, 대구 경북, 부산 경남, 광주 전라, 강원 제주에 소재한 학교 및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징은 Table 1과 같다.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2. 조사 도구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 도구는 언어치료 전문영역에서 강조되는 의사소통능력과 일반적인 의사소통 과정 영역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Shin et al., 2013; Shin, 2015)와 전반적 의사소통능력 관련 도구(Jung, 2016; Kim, 2016; Lee, 2013; Shin & Kim, 2019)를 참조하였으며, 일반 화자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이 좋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의사소통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추출하여 의사소통능력 관련 프로파일을 제작하였다. 조음능력 2문항, 음성능력 2문항, 유창성능력 3문항, 언어능력 5문항, 비언어능력 2문항으로 총 14개 문항, 전반적인 의사소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해석능력 5문항, 역할수행능력 4문항, 자기제시능력 4문항, 목표설정능력 3문항, 메시지전환능력 3문항으로 총19개 문항이고, 모든 문항의 수는 33개로 구성되었다(Table 2). 구어-언어 영역에서 조음능력은 발음의 정확도와 명료도, 음성능력은 목소리의 적절성, 유창성은 말의 흐름에 대한 자연성, 언어능력은 어휘, 구문, 대화의 규칙 등에 대한 능력, 비언어능력은 시선접촉이나 제스처 사용에 대한 능력이다(Shin et al., 2013). 전반적 의사소통 영역 중 해석능력은 정보수집 능력과 경청능력, 역할수행능력은 고정관념 사고의 극복, 창의적 및 개방적 의사소통능력, 자기제시능력은 의견전달 능력, 목표설정능력은 주도적 의사소통, 메시지 전환능력은 타인의 관점이해 능력이다(Lee, 2016).

Communication abilities research tools

참조한 의사소통능력 조사 도구는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연구에서 Cronbach’ Alpha가 .76으로 검증되었다(Lee, 2016). 내용타당도 검증은 의사소통장애 전문가 5인, 교사 6인에게 해당 항목과 문항의 적절성과 내용이 어색하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등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직접 기술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수정한 설문지에 대하여 의사소통장애 전문가 및 교사 4인의 검토를 통해 완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언어치료 분야에서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와 전반적 의사소통능력 요소를 포함하여 33문항으로 제작한 조사 도구의 내적일관성은 Cronbach’ Alpha가 .94로 신뢰도가 매우 높게 검증되었다.

3. 자료 수집

구글 설문으로 의사소통능력 요소별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2020년 10~11월까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의뢰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교사는 총 156명이었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 12개를 제외하고 총 144개를 분석하였다.

4. 자료 분석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요소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요도 및 수행도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의 성별, 연령대, 학교급에 따라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artilla & James, 1977, as cited in Jung, 2016)은 평가 요소의 중요도 인식정도와 수행도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따라 사분면의 매트릭스로 표현되는 IPA 모형을 활용하였다. x축을 수행도로, y축을 중요도로 하여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을 교차점으로 하는 4분면을 그리고, 4분면 위에 각 의사소통능력 요소들의 제시하였다(Figure 1). IPA 매트릭스에서 1사분면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대해 수행도도 높으므로 지속적으로 유지해도 좋은 영역이며 2사분면은 중요도 인식은 높으나 수행도가 낮으므로 개선이 요구되며 또한 집중해야 할 영역이다. 3사분면은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가 모두 낮아 우선 순위가 높지 않은 영역이며 4사분면은 중요도 인식은 낮으나 수행도가 높아 과잉 실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이다(Jung, 2016).

Figure 1.

IPA matrix


Ⅲ. 연구 결과

1.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별 중요도와 수행도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에 대한 응답은 Table 3과 같다.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조음능력의 중요성이 4.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해석능력이 4.44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비언어능력이 4.35, 다음으로 음성능력, 언어능력, 유창성능력이 4.2이상으로 나타났고, 메시지전환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ility each of communication factors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별 수행도에 대한 인식은 해석능력이 4.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언어능력이 4.27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은 조음능력, 메시지 전환능력, 언어능력, 음성능력, 역할수행능력이 4.0 이상으로 나타났고, 유창성과 자기제시, 목표설정능력에 대한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 요소별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Table 3). 중요도와 수행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의사소통능력 요소는 조음능력, 유창성능력, 언어능력, 비언어능력,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메시지전환능력 등이었다.

학교급별로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 평균을 산출하고 순위를 조사하였다. 유치원교사, 초등교사, 중등교사의 경우, 순서의 차이는 있으나 조음능력, 비언어능력, 해석능력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고, 고등교사의 경우, 조음능력, 음성능력, 해석능력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Mean and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by school level

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라서 의사소통능력 요소의 수행도 순서는 유치원교사의 경우, 비언어능력, 해석능력, 메시지전환능력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고, 초등교사는 해석능력, 메시지전환능력, 언어능력의 수행도가 높았고, 중등교사는 비언어능력, 조음능력, 해석능력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고, 고등교사는 조음능력, 비언어능력, 해석능력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Mean and ranking of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by school level

2. 대상자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요소의 중요도와 수행도

교사들의 성별, 연령, 학교급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검정과 ANOVA, LSD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소만 Table 6, 7, 8에 제시하였다. 교사의 성별에 따라서는 중요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수행도는 음성능력, 비언어능력, 역할수행능력이 여자 교사들이 남자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교사의 연령대에 따라서는 30대, 40대, 50대 교사들이 20대 교사들보다 조음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창성능력은 20대 교사보다는 30대, 50대 교사가 40대 교사보다는 50대 교사가 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Table 7). 수행도는 유치원교사들보다는 고등교사들이 조음능력을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창성능력은 중요도와 동일하게 20대 교사보다는 30대, 50대 교사가 40대 교사보다는 50대 교사의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ages

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조음능력과 음성능력에 대해서는 유치원과 초등교사보다 고등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제시능력은 초등교사보다 중등이나 고등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 요소의 수행도에 대해서는 유치원 및 초등 교사보다 중등 및 고등교사가 조음능력, 유창성능력, 비언어능력에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고, 음성능력은 유치원 및 초등교사보다 중등교사가, 초등교사보다 고등교사가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school level

3. 교사들의 학교급별 의사소통능력 요소의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분석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중요도와 수행도 좌표 평면에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1) 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유치원교사의 경우, 해석, 비언어, 메시지 전환, 언어의 4가지 능력에 1사분면에 포함되었고 이는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지금처럼 유지하면 되는 능력들이다. 조음능력은 2사분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상대적으로 수행정도가 낮다고 응답하였다. 음성, 유창성, 자기제시, 목표설정의 4가지는 중요성과 수행도가 모두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역할수행능력은 4사분면에 나타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수행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2).

Figure 2.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kindergarten teacher group

2)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초등교사의 경우 1사분면에 해석, 조음, 언어, 비언어 능력이 있었고,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이러한 능력들이 중요하며 수행도도 높다고 응답하였다. 2사분면에는 음성과 유창성으로 이 두 가지 능력요소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이 부족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3사분면에는 역할수행, 자기제시, 목포설정의 3가지 능력 요소가 포함되었고, 이들은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게 평정되었다. 4사분면에는 메시지전환능력으로 중요도는 높지 않지만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3).

Figure 3.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group

3) 중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중등교사의 경우는 해석, 조음, 비언어, 음성, 언어능력이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사분면에는 유창성능력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정도가 낮아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사분면에는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으로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정되었다. 4사분면에는 메시지전환능력과 역할수행능력이 해당되었고 이러한 능력들은 중요도는 높지 않으나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4).

Figure 4.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middle school teacher group

4) 고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중등교사의 경우는 해석, 조음, 비언어, 음성, 언어능력이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높은 1사분면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사분면에는 유창성능력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정도가 낮아 중점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사분면에는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으로 중요도와 수행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정되었다. 4사분면에는 메시지전환능력과 역할수행능력이 해당되었고 이러한 능력들은 중요도는 높지 않으나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5).

Figure 5.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high school teacher group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치, 초ㆍ중ㆍ고등교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조음능력,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음성능력, 언어능력, 유창성능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메시지전환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언어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Shin & Kim, 2019)에서 해석능력, 조음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한 것과 유사한 결과였고, 목표설정능력과 역할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난 것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교사들은 대체로 의사소통에 정확한 조음과 명료한 발화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대화 중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능력을 포함한 해석능력을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에서 언어적 의사소통뿐 아니라 비언어적 능력도 세 번째로 중요한 요소로 응답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의 평균은 언어치료학과 학생들(Shin & Kim, 2019)이나 간호대 학생 평균이나 일반대 학생 평균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으며, 특히 조음, 음성, 언어, 유창성, 비언어적 요소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교사의 수행도는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조음능력, 메시지전환능력, 언어능력, 음성능력, 역할수행능력, 유창성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의 순으로 나타나 음성능력이나 유창성능력의 순위가 중요도보다는 낮아졌으며, 메시지전환능력은 중요도보다는 수행도에서 순위가 높아졌다.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조음능력과 함께 메시지전환능력은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는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교사들은 학생과 같은 의사소통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의사소통을 잘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음성능력이나 유창성능력의 수행도가 낮게 나타나 이러한 영역에서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치료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도 해석능력, 비언어적능력, 메시지전환능력이 높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Shin & Kim, 2019). 학생들이 응답한 수행도보다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수행도의 절대값이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중요도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비언어능력, 역할수행, 메시지전환능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요소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 학교급별 중요도의 순위와 수행도의 순위를 조사한 결과 유치원교사, 초등교사, 중등교사는 전체 교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조음능력, 비언어능력, 해석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고등교사의 경우, 음성능력을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음성능력은 음성의 높낮이와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과 음질이 맑고 자연스러운 억양을 포함한다. 어린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들에 비해 비언어능력은 중요도 순위가 낮아진 반면 음성이나 유창성과 같은 능력의 중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등교사들이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사들보다 언어적 측면에 더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급별 교사들의 수행도의 순위를 조사한 결과 유치원교사와 중등교사는 다른 급제의 교사들과 비교하여 비언어능력을 잘 수행하고 있었으며,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는 메시지전환능력을 잘 수행하였다. 상대방의 의도를 해석하고 기분을 이해하며 경청을 잘하는 해석능력은 모든 급제의 교사들이 모두 잘 수행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교사들이 음성능력, 비언어능력, 역할수행능력을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의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자교사들의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의 연령대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20대 교사들이 30, 40, 50대 교사들보다 조음능력과 유창성능력을 낮게 응답하였다. 교사의 연령과 함께 경력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도가 함께 높아지고, 30대 이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조음능력과 음성능력은 고등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며, 자기제시능력은 중고등교사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의사소통능력 요소 수행도도 유치원이나 초등교사보다 고등교사가 높게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 요소들에 대한 IPA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축을 교차하였을 때 발생하는 4개의 사분면에 해당하는 요소를 분석하여 앞으로 보다 강화가 필요한지 유지를 하면 되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1사분면에 있는 의사소통능력 요소들은 중요하고 수행도 잘하고 있으므로 현재와 같이 유지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2사분면은 개선을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나 수행도는 낮은 영역으로 여기에 해당하는 요소를 개선시키거나 강화시키는 형태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3사분면은 중요도도 상대적으로 낮고 수행도 덜 하는 요소들이 해당된다. 4사분면은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수행은 잘하고 있는 것으로 주의를 덜 기울여도 될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것처럼 학교급별로 IP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치원교사의 경우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메시지전환능력은 현재와 같이 유지를 하고, 언어능력과 조음능력은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초등교사의 경우도 해석능력, 언어능력, 비언어능력, 조음능력은 1사분면에 해당되어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고, 2사분면에 해당하는 음성능력과 유창성능력은 수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교사의 경우, 조음능력,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음성능력, 언어능력은 1사분면에 해당되는 능력으로 현재와 같이 유지할 필요가 있다. 초등교사와 마찬가지로 유창성능력은 2사분면에 해당되어 중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수행도가 낮으므로 수행의 강화를 위한 교육과 같은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고등교사의 경우는 모든 의사소통능력 요소들이 1사분면과 3사분면에 포함되어 중요도와 실행도의 균형이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2사분면에 위치한 의사소통능력요소는 조음능력(유치원교사), 유창성과 음성능력(초등교사), 유창성능력(중등교사)으로 언어치료적 측면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영역들이 교사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되는 반면, 수행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어 교육 요구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능력 요소에 대한 교사의 요구를 채울 수 있는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이나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별 교사들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적인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교사 개인별 IPA 분석을 실시하여 의사소통능력 요소의 수행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개인별 처방을 제안하는 기준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o. NRF-2020S1A5A2A01044641).

이 연구는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2020S1A5A2A01044641).

Reference

  • Han, E. K. (2018). The effec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eacher efficacy on competency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 Hwang, E. J. (2015).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 Hwang, S. H., & Yun, K. M. (2016).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515-548. uci:G704-SER000001745.2016.10.3.004
  • Jung, M. Y. (2016). Needs o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Pusan.
  • Jung, M. Y. (2017). Difference of sagunja temperament type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9), 385-395.
  • Kang, J. Y. (2017). The effec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level on the happiness of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 Kim, M. S. (2016).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iate interpersonal skills. Hanminjok Emunhak, 73, 203-233. uci:I410-ECN-0102-2017-810-000381710
  • Kim, M. S. (2018). A survey study of worker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kills. The Journal of Language & Literature, 75, 7-36. [https://doi.org/10.15565/jll.2018.09.75.7]
  • Kim, S. H., & Lee, M. A. (2014).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32-341.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332]
  • Kim, S. Y., & Shin, M. S. (2015). A study of the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practice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4), 17-31. [https://doi.org/10.15724/jslhd.2015.24.4.003]
  • Lee, J. M. (2013).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ir work stress. Korean Societ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2(1), 81-97.
  • Lee, M. J.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choo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1177/002224297704100112]
  • Park, H., Lee, M. S., & Park, C. H. (2013). Job stress factors and turnover of registered Voucher language pathologis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2(4), 227-250. [https://doi.org/10.15724/jslhd.2013.22.4.013]
  • Park, M. J., & Oh, D. N. (2017).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1), 423-434.
  • Park, H. N. (2014). A survey on the voice problem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 Park, S. 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es and voice disorders among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Patterson, L., Santa, C. M., Short, K. G., & Smith, K. (1993). Teachers are researchers: Reflection and action. Portsmouth: Heinemann.
  • Shin, M. S., Jeon, H. S., Kim, H. J., & Jang, H. J. (2013).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importance of speech pathologist and normal adults into fluency recognition factor.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2(1), 223-234. [https://doi.org/10.15724/jslhd.2013.22.1.013]
  • Shin, M. S. (2015). Impressive characteristics on fluency factor of stuttering adult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3(1), 1-17.
  • Shin, M. S., & Kim, S. Y. (2019). A study about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ility among students majored in speech-language therapy.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8(4), 171-180. [https://doi.org/10.15724/jslhd.2019.28.4.171]
  • Trenholm, S., & Jensen, A. (2013). Interpersonal communication (7th ed.).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참 고 문 헌

  • 강지영 (2017).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수준이 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미선 (2016).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 한민족어문학회, 73, 203-233.
  • 김미선 (2018). 직장인의 의사소통에 관한 인식 조사. 어문론집, 75, 7-36.
  • 김세향, 이미애 (2014).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3), 332-341.
  • 김시영, 신명선 (2015). 언어치료 전공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및 교수효율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4(4), 17-31.
  • 박미정, 오두남 (2017). 대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이 대인관계 만족도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423-434.
  • 박성신 (2004). 직업 스트레스와 음성장애에 관한 연구: 초ㆍ중ㆍ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현, 이명순, 박찬희 (2013). 바우처 언어재활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이직의도. 언어치료연구, 22(4), 227-250.
  • 박현나 (2014). 중학교 교사들의 음성문제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명선 (2015). 말더듬 성인의 유창성 요인에 대한 인상적 특성. 언어치료연구, 23(1), 1-17.
  • 신명선, 김시영 (2019). 언어치료 전공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언어치료연구, 28(4), 171-180.
  • 신명선, 전희숙, 김효정, 장현진 (2013). 언어치료사와 일반 성인의 유창성 요인에 대한 중요도 비교. 언어치료연구, 22(1), 223-234.
  • 이민주 (2016). 초등교사의 교원 간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종민 (2013). 작업치료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지재활학회지, 2(1), 81-97.
  • 정미영 (2016).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요구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미영 (2017). 대학생의 사군자 기질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385-395.
  • 한은규 (2018). 중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사효능감이 학교폭력예방 및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황순희, 윤경미 (2016). 공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사고양식의 관계. 교양교육연구, 10(3), 515-548.
  • 황은진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및 의사소통능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Figure 1.

Figure 1.
IPA matrix

Figure 2.

Figure 2.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kindergarten teacher group

Figure 3.

Figure 3.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group

Figure 4.

Figure 4.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middle school teacher group

Figure 5.

Figure 5.
IPA matrix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communication factors in high school teacher group

Table 1.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Characterization Category n (%)
Gender Female 105 (72.9)
Man  38 (26.4)
Unknown   1 (  .7)
Age 20~29  27 (18.8)
30~39  55 (38.2)
40~49  35 (24.3)
50~59  21 (14.6)
Unknown   6 ( 4.2)
Region Seoul-Kyeonggi  10 ( 6.9)
Daejeon-Chungchyeong  12 ( 8.3)
Daegu-Kyeongbuk  65 (45.1)
Busan-Kyeongnam  13 ( 9.0)
Gwangju-Jeolla  41 (28.5)
Gangwon-Jeju   3 ( 2.1)
Class Kinder garden  36 (25.0)
Elementary school  34 (23.6)
Middle school  41 (28.5)
High school  33 (22.9)
Career 1~5  36 (25.0)
6~10  43 (29.9)
11~15  27 (18.8)
16~20  13 ( 9.0)
21<  24 (16.7)
Unknown   1 (  .7)

Table 2.

Communication abilities research tools

Category Communication factors Number of items
Articulation Articulation, speech intelligibility 2
Voice Pitch & loudness, voice quality 2
Fluency Pause, speech rate, repetitions or interjections 3
Language Syntax, semantics, pragmatics, turn-taking, topic maintenance 5
Nonlanguage Eye-contact, gestures 2
Interpretation Data collection (other’s intentions, non-verbal data), active listening 5
Role fulfillment Overcoming stereotype, creative communication 4
Self presentation Expressing own thoughts or weaknesses 4
Goal setting Presenting own thoughts actively and clearly 3
Message conversion Understanding other’s point of view 3
Total 33

Table 3.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ility each of communication factors

Communication factors Importance Performance t
M SD M SD
*p<.05, **p<.01, ***p<.001
Articulation 4.54 .49 4.18 .71 6.511***
Voice 4.29 .65 4.10 .77 3.205**
Fluency 4.24 .59 3.89 .77 6.305***
Language 4.28 .52 4.12 .61 3.371**
Nonlanguage 4.35 .57 4.27 .66 1.670
Interpretation 4.44 .46 4.30 .56 3.725***
Role fulfillment 4.15 .56 4.08 .61 1.647
Self presentation 4.00 .61 3.85 .70 3.157**
Goal setting 3.96 .60 3.81 .73 2.986**
Message conversion 4.19 .60 4.14 .64 1.219
Total 4.23 .42 4.07 .54 5.244***

Table 4.

Mean and ranking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by school level

KG ES MS HS
Note. The values are mean (ranking). KG=kinder garden; ES=elementary school; MS=middle school; HS=high school.
Articulation 4.44 ( 1) 4.41 ( 2) 4.59 ( 1) 4.71 ( 1)
Voice 4.14 ( 6) 4.16 ( 5) 4.32 ( 4) 4.55 ( 2)
Fluency 4.08 ( 8) 4.16 ( 5) 4.36 ( 3) 4.35 ( 6)
Language 4.32 ( 4) 4.17 ( 4) 4.26 ( 5) 4.37 ( 5)
Nonlanguage 4.40 ( 2) 4.21 ( 3) 4.38 ( 2) 4.42 ( 4)
Interpretation 4.38 ( 3) 4.49 ( 1) 4.38 ( 2) 4.50 ( 3)
Role fulfillment 4.10 ( 7) 4.10 ( 7) 4.09 ( 7) 4.27 ( 8)
Self presentation 4.01 ( 9) 3.76 ( 9) 4.05 ( 8) 4.17 ( 9)
Goal setting 3.76 (10) 3.67 (10) 3.65 ( 9) 3.94 (10)
Message conversion 4.21 ( 5) 4.08 ( 8) 4.20 ( 6) 4.28 ( 7)
Total 4.19 4.12 4.23 4.36

Table 5.

Mean and ranking of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by school level

KG ES MS HS
Note. The values are mean (ranking). KG=kinder garden; ES=elementary school; MS=middle school; HS=high school.
Articulation 3.99 ( 6) 3.94 ( 4) 4.35 ( 2) 4.44 ( 1)
Voice 3.94 ( 7) 3.85 ( 6) 4.30 ( 4) 4.29 ( 4)
Fluency 3.69 (10) 3.71 ( 8) 4.04 ( 8) 4.12 ( 7)
Language 4.01 ( 5) 4.01 ( 3) 4.21 ( 5) 4.24 ( 5)
Nonlanguage 4.33 ( 1) 3.94 ( 4) 4.38 ( 1) 4.39 ( 2)
Interpretation 4.32 ( 2) 4.15 ( 1) 4.35 ( 2) 4.37 ( 3)
Role fulfillment 4.13 ( 4) 3.85 ( 7) 4.18 ( 6) 4.13 ( 8)
Self presentation 3.86 ( 8) 3.63 ( 9) 3.88 ( 9) 4.02 ( 9)
Goal setting 3.71 ( 9) 3.42 (10) 3.49 (10) 3.80 (10)
Message conversion 4.15 ( 3) 4.08 ( 2) 4.17 ( 7) 4.16 ( 6)
Total 4.01 3.86 4.14 4.20

Table 6.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Communication factors Female
(n=105)
Male
(n=38)
t
M SD M SD
*p<.05
Performance Voice 4.18 .73 3.88 .85 2.044*
Nonlanguage 4.33 .60 4.08 .78 2.018*
Role fulfillment 4.13 .59 3.89 .65 2.072*

Table 7.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ages

Communication factors 20~29
(n=27)
30~39
(n=54)
40~49
(n=35)
50~59
(n=21)
F
(Post-hoc)
*p<.05, **p<.01
Importance Articulation 4.28
(.45)
4.60
(.44)
4.54
(.48)
4.69
(.51)
3.977**
(a<b,c,d)
Fluency 4.01
(.65)
4.33
(.52)
4.18
(.61)
4.52
(.47)
3.741*
(a<b,d, c<d)
Performance Articulation 3.93
(.69)
4.20
(.79)
4.23
(.49)
4.52
(.58)
3.144**
(a<d)
Fluency 3.64
(.78)
4.02
(.81)
3.77
(.71)
4.19
(.60)
2.897*
(a<b,d, c<d)

Table 8.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according to school level

Communication factors KE
(n=36)
ES
(n=34)
MS
(n=40)
HS
(n=33)
F
(Post-hoc)
Note. KG=kinder garden; ES=elementary school; MS=middle school; HS=high school.
*p<.05, **p<.01
Importance Articulation 4.44
(.44)
4.41
(.54)
4.59
(.49)
4.71
(.43)
2.824*
(a,b<d)
Voice 4.14
(.64)
4.16
(.66)
4.35
(.65)
4.55
(.54)
3.124*
(a,b<d)
Self presentation 4.01
(.53)
3.76
(.64)
4.06
(.64)
4.17
(.56)
2.878*
(b<c,d)
Performance Articulation 3.99
(.68)
3.94
(.75)
4.39
(.59)
4.44
(.67)
5.327**
(a,b<c,d)
Voice 3.94
(.69)
3.85
(.88)
4.34
(.70)
4.29
(.70)
3.801*
(a,b<c, b<d)
Fluency 3.69
(.72)
3.71
(.85)
4.06
(.74)
4.12
(.72)
3.234*
(a,b<c,d)
Nonlanguage 4.33
(.56)
3.94
(.78)
4.39
(.61)
4.39
(.61)
3.932**
(b<a,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