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3, No. 3, pp.59-67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Jul 2024
Received 08 Jun 2024 Revised 11 Jul 2024 Accepted 31 Jul 2024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4.33.3.059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동화 유형별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비교

양지원1 ; 김화수2, *
1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석사과정
2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Comparison of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Type of Fairy Tale by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i Won Yang1 ; Wha Soo Kim2, *
1Major in Speech-Language Pathology, Dep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Daegu University, Master’s Student
2Dep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Wha Soo Kim, PhD E-mail : whasoolang@hanmail.net

Copyright 2024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동화 유형별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해 총 7가지 정서 범주와 관련 있는 동화 속 상황과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문항으로 구성된 총 42문항의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수용어휘 연령 10세 이상의 발달장애 청소년 33명으로 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 평균 점수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각 동화 모두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 평균 점수는 정서 이해력 평균 점수보다 낮았다.

결론: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은 생활동화에서 가장 높은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을 보이며 환상동화에서 가장 낮은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동화 유형별로 정서 표현력이 정서 이해력보다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화 유형에 따른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동화와 관련지은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에 관한 연구 및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A 42-item assessment instrument consisting of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items and fairy tale situations related to seven emotional categories was developed. The participants were 33 adolescents aged 10 years and above in the receptive language.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comprehens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fairy tales (folktale, real-life, and fantasy).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the three types of fairy tales (folktale, real-life, and fantas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ean scores of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for the three types of fairy tales (folktale, real-life, and fantasy) amo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each fairy tale, the mean emotional expression scores were lower than the mean emotional comprehension scor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the highest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scores for real-life fairy tales and the lowest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scores for fantasy fairy tales, and that emotional expression is lower than emotional comprehension for each fairy tale 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ifferences in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words:

Emotional comprehension, emotional express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키워드:

정서 이해력, 정서 표현력, 발달장애

Ⅰ. 서론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대와 의사소통을 하는데, 이때 여러 매체를 이용하여 의사소통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도 한다. 매체들 중 동화는 동화 속 주인공과 함께 독자들에게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정서적 발달을 돕고(Ha, 2011) 정서적 측면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돕는다.

정서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정서적 능력은 정서 이해와 정서 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서 이해력(understanding of emotions)을 들 수 있는데, 정서 이해력은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동안 자신과 상대방의 정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이는 사회적응 및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된다(Nam-goong, 2010). 이렇게 이해한 정서를 다양한 어휘로 풍부하게 표현하며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정서 어휘 표현력이라고 하며(Lee, 2023; Saarni, 1999), 이것 역시 긍정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만약 정서 이해 및 표현력이 부족하다면 상대와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사회적 고립에 처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정서를 이해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은 느린 발달 속도와 인지적 제한으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정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은 타인의 정서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해 감정 공감 및 추론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An, 2017). 또한 발달장애인은 어휘 및 문법 능력 등의 한계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Kim et al., 2015). 이러한 능력의 제한으로 발달장애인은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일 수도 있으며(Lim et al., 2006), 자신의 감정을 올바르지 못한 형태로 표현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다. 이 같은 특성은 의사소통 단절을 유발할 수 있으며 또래 관계 형성 및 사회 활동의 제한과 더불어 포괄적인 사회적 적응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적절한 정서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서 경험을 겪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정서 경험은 정서와 관련된 내ㆍ외적 상황에 적절하고 적응하고 반응하는 경향성이 유발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Gross & John, 1995). 이러한 정서 경험은 보통 아동과 가깝고 친숙한 환경에 의해 제공되는데, 그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 매체가 동화라고 볼 수 있다. Pellegrini(1985)는 동화를 읽는 것이 어휘 습득에 있어 좋은 영향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아동들은 동화책을 통해 의사소통 관련 능력이 발달하며 즐거운 언어 경험을 겪게 되고, 아동의 언어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Kim & Jung, 1997). 이러한 언어발달은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데 기초 능력이 될 수 있다. Kang과 Lee(1997)는 아동들이 동화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의 삶을 접하여 정서에 대한 이해력을 갖게 된다고 보았다.

읽기 매체 중 동화는 말과 글을 배우는 과정에서 최초로 접하게 되어 아동과 청소년들에게도 가장 선호되는 문학 매체이므로(Hong, 2016)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도 성인 대상 문학보다 훨씬 친근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난이도가 쉬운 동화를 사용하는 중재법은 생활연령에 비해 발달이 지체되었고 읽기 능력에도 결함이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읽기 실패 확률을 줄여주고 어휘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 적응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Lee, 2011). Choi(2003)는 동화를 활용한 훈련을 통해 고기능 자폐성장애 아동의 정서 상태 이해를 향상시켰다고 하였으며, Hwang 등(2014)은 환상동화를 활용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Kwon(2019)은 동화책을 활용한 역할 놀이 교수법이 지적장애 학생의 감정 어휘 습득 및 표현력을 향상시켰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동화가 정서 이해 및 정서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성인 전환기 시점의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은 단일 동화를 사용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동화 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Lee(1984)와 Lee(2006; as cited in Kwak, 2009)의 아동문학 동화론에 기반하여 분류한 여러 유형의 동화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차이에 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동화를 이용한 정서 언어 관련 중재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은 세 가지 동화(전래, 생활, 환상) 읽기 과제 간에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은 세 가지 동화(전래, 생활, 환상) 읽기 과제 간에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발달장애 청소년은 세 가지 동화(전래, 생활, 환상) 읽기 과제에서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 어휘력 간에 평균의 차이를 보이는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경북에 거주하며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수용어휘 연령 10세 이상의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 3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발달장애란 개념은 학자와 기관, 사회 및 학문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Ehlers(1982; as cited in Hong, 2007)의 정의를 참고하여 발달장애를 22세 이전에 장애가 발생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지원이 요구되는 영구적 장애를 가진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수용언어 연령을 10세 이상으로 정한 이유는 초등학교 시기는 정서 관련 능력이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이며(Kim & Lee, 2019), 정서와 관련된 능력은 유아부터 시작되어 죽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달(Mayer & Salovey, 1997)하기 때문에 정서 관련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해당 수용어휘 연령의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정보는 Table 1과 같다.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2. 연구 도구

1) 선별 검사

본 연구의 대상자는 생활연령이 만 19세 이상 24세 이하로 병원이나 관련 기관에서 발달장애로 진단받았으며 시각, 청각 등 감각장애, 정서장애, 신체장애 등 기타 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청소년이자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et al., 2009) 결과, 수용어휘 연령이 10세 이상에 해당하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보호자와 본인이 모두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2) 정서 언어능력 과제

본 연구에서는 동화 유형을 작자 미상의 설화 및 구전 문학을 기반으로 한 전래동화와 작자가 분명한 현대의 창작동화를 Lee(1984)와 Lee(2006; as cited in Kwak, 2009)의 아동문학 장르 이론에 기반하여 고유의 특징에 따라 생활동화, 환상동화로 분류하여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른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총 3가지 제작하였다. 그리고 동화 유형별로 7가지 정서와 관련된 상황을 나타내는 7개의 상황 지문과 각 지문당 2개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문항으로 하였다.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을 확인하기 위해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결과 보고서에서 빈도수 상위 3위권 내의 어휘(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2)와 한국어 감정형용사의 유의어 교육 연구(Kim, 2007)의 어휘 중 정서와 관련된 형용사 및 동사 어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화 읽기 과제는 어린이 도서 연구회(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2023) 선정 10~11세 대상 동화 중 Im(2011)의 ‘다시 읽는 임석재 옛이야기 1’, Kim(2006)의 ‘검정 연필 선생님’, Kim(2002)의 ‘내 동생 아영이’에서 일부를 사용하였다. 세 가지(전래, 생활, 환상) 동화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평가 문항은 각 21문항이며, 7가지 상황당 하나씩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해 지적장애 학생의 감정 어휘 표현을 살펴본 선행 연구(Kim & Yang, 2019)의 방식을 수정 및 보완하여 각 7가지 정서와 관련된 최대 3가지의 정서 어휘를 준비하여 총 21개의 번호가 매겨진 정서 어휘 목록을 따로 배포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문항 구성은 정서 이해력 21문항, 정서 표현력 21문항 총 42문항으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문항에 대한 예시 및 정서 어휘 목록은 Appendix 1Appendix 2에 제시하였다.

3) 과제 타당도

이 연구에서는 예비 실험을 바탕으로 확정된 정서 언어능력 과제의 전체 문항별 상황 및 어휘 적절성에 대한 타당도 검사를 Likert 5점 척도로 제작하였다. 언어치료전공 교수 1명,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언어재활사 3명, 석사 5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기준으로 ‘1점=매우 부적절’, ‘2점=부적절’, ‘3점=보통’, ‘4점=적절’, ‘5점=매우 적절’로 채점하여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사 결과에 따라 과제의 용어와 문장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3. 실험 설계

본 연구는 2023년 10월 초부터 11월 초까지 수용어휘 연령이 10세 이상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과제 시행 절차는 전래동화, 생활동화, 환상동화 순으로 실시하였으며, 과제 시행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정서 이해력 과제는 연구자가 제공하는 동화 듣기 자료와 읽기 자료를 접한 후, 정서 어휘가 들어간 4가지 선택지 중 특정 등장인물의 정서로 적절한 선택지 한 가지를 고르는 방법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정서 표현력 과제는 연구자가 제공하는 동화 듣기 자료와 읽기 자료를 접한 후, 배포된 정서 어휘 목록 중 특정 등장인물의 정서로 적절한 어휘에 매겨진 번호를 적는 방법으로 과제를 진행하였다. 검사는 1 : 1로 실시할 수 있는 조용한 방에서 실시하였으며, 검사 시간은 30분 소요되었다.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과제 진행 방법을 설명한 후 과제를 진행하였다.

4. 결과 처리

자료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7.0을 사용하였다.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별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별 정서 이해력 차이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차이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 이해력은 전래동화 평균 5.60점, 생활동화 평균 6.51점, 환상동화 평균 4.72점으로 동화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Table 2Figure 1에 제시하였다. 각 동화 유형별 구체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Bonferroni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세 집단은 모두 다른 집단으로 나타났다.

Emotional comprehen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Figure 1.

Emotional comprehension by fairy tale type

2.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별 정서 표현력 차이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 표현 어휘력은 전래동화 평균 9.03점, 생활동화 평균 9.75점, 환상동화 평균 7.27점으로 동화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Table 3Figure 2에 제시하였다. 각 동화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Bonferroni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환상동화와 생활동화의 정서 표현 어휘력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환상동화와 전래동화의 정서 표현 어휘력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전래동화와 생활동화의 정서 표현 어휘력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Figure 2.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3.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별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 어휘력 간에 평균의 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 어휘력 평균 점수 간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정서 표현 어휘력 검사는 문항별로 적절한 정서 표현 어휘를 3개 고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답인 정서 어휘당 1점씩 최대 3점으로 채점하였다. 정서 이해력 검사는 문항별로 적절한 선택지를 1개 고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 1개의 적절한 선택지를 1점으로 채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균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정서 표현 어휘력 검사의 평균 점수를 3으로 나누어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4Figure 3에 제시하였다.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Figure 3.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동화 유형별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 간에 평균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은 전래동화, 생활동화, 환상동화 모두 정서 이해력보다 낮은 정서 표현력 평균 점수를 보였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세 가지 동화 유형에 따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수용어휘 연령이 10세 이상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동화 유형을 전래동화, 생활동화, 환상동화로 나누어 제공한 후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 과제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동화 유형별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세 가지 동화 유형별로 정서 이해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세 가지 동화 중 생활동화의 정서 이해력이 가장 높았으며, 환상동화의 정서 이해력이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전래동화 및 환상동화는 생활동화와 달리 동화 내에 포함된 비현실적인 환상성 요소가 있으며, 이러한 요소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에 어려움을 발생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인의 경우 언어발달에 있어 이해 능력의 부족과 함께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데 제한이 있다는 Lee(2000)의 연구와 맥락상 일치한다.

둘째, 세 가지 동화 유형별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표현력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세 가지 동화 유형별로 정서 표현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생활동화의 정서 표현력이 가장 높았으며, 환상동화의 정서 표현력이 가장 낮았다. 이는 생활동화를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정서 인식 및 표현력을 포함하는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나타난 Kang(2014)의 연구와 맥락상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교수 방법이 유아의 정서 능력 중 정서 어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Oh(2007)의 연구 역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생활동화 및 전래동화가 발달장애인의 정서 표현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세 가지 동화 유형(전래, 생활, 환상)에 따른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 간에 평균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세 가지 동화 유형 모두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 간에 평균 점수의 차이를 나타냈다. 세 가지 동화 모두 정서 표현력의 평균 점수가 정서 이해력의 평균 점수보다 낮았는데, 이는 발달장애인이 낱말 간 조합과 빠른 연결 능력의 제한이 있어 새로운 어휘의 습득 및 확장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비슷하다(Rice et al., 1990).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향후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을 정서 언어능력에 관하여 동화를 통해 중재할 때는 동화 유형 중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생활동화를 주로 활용하는 교수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환상 요소가 들어간 동화를 활용하여 중재할 때는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에 유의하며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동화의 유형과 상관없이 정서 이해력과 정서 표현력의 차이가 나므로 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자신의 정서를 올바르게 표출하는 방법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동화를 활용한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정서 관련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선행 연구들(Kwon, 2019; Lee, 2008, 2011)이 있으며 이는 생활동화를 활용하여 실생활에 밀접한 요소들로 구성한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관련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 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에 어휘 목록을 제공하였기에 순수한 표현력을 살펴보기에 명확한 한계가 있다. 후일 연구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력과 별도의 표현력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전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은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동화 유형에 따른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동화와 관련지은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 청소년의 정서 이해력 및 정서 표현력에 관한 연구 및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References

  • Choi, S. J. (2003). The effect of training of emotion understanding on mind-reading of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y using juvenile storie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 Gross, J. J., & John, O. P. (1995). Facets of emotional expressivity: Three self-report factors and their correl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4), 555-568. [https://doi.org/10.1016/191-8869(95)00055-B]
  • Ha, Y.-S. (2011).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using the natural objects after reading the picture books on a child’s intelligence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 Hong, Y. H. (2007). The impact of craft activities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 Hong, Y.-R. (2011).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fairy tale 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 Hwang, I. J., Hong, S. O., & An, Y. H. (2014). Effects of picture drawing about fantasy fairy taleson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er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4), 267-292. uci:G704-001817.2014.15.4.004
  • Im, S. J. (2011). Im Seok-jae’s folk tale re-read 1. Seoul: Hollym Publishers.
  • Kang, M. H., & Lee, H. S. (1997). Children’s literacy education. Seoul: Hakjisa.
  • Kang, S. H. (2014).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life-based children’s stor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Kim, J. G., & Jung, N. M. (1997). Effects of a literature approach activity program on toddlers’ languag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 5-27.
  • Kim, J. H. (2007). A study on teaching synonym of Korean emotional-adjective: The focus of high-frequency emotional vocabulary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 Kim, J. M. (2002). My sister Ayeong. Seoul: Changbi Publishers.
  • Kim, R. R. (2006). Black pencil teacher. Paju: Changbi Publishers.
  • Kim, W. S., & An, S. Y. (2017). Relations of competence of social communication, mind of theory, and popularity among 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ability and adolesc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9(4), 229-248. uci:I410-ECN-0102-2018-300-004028542
  • Kim, W. S., Choi, Y. S., & Lee, G. Y. (2015). Topic maintenance ability of student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7(2), 415-432. uci:>I410-ECN-0102-2015-300-001782152
  • Kim, W. S., Lee, J. W., Eom, Y. J., & Choi, S. Y. (2019). A study on affectional expression vocabulary diversity and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21(3), 75-102.
  • Kim, W.-S., Yang, Y.-J., Lee, J.-W., & Jang, E.-Y. (2019).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eeling vocabulary by media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8(3), 361-384. [https://doi.org/10.23944/Jsers.2019.09.58.3.16]
  • Kim, Y. T., Hong, G. H., Kim, K. H., Jang, H. S., & Lee, J. Y. (2009).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2023). Seoul: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2023 Recommended list. Retrieved from https://www.childbook.org/book/recommend_list.html
  • Kwak, H. (2009). A study on a theory of fair tale genre (Master’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Jinju.
  • Kwon, N.-H. (2019). The influence of fairy tale book based role-playing on acquisition of emotional language and emotion express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order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 Lee, J.-H. (2011). Effect of program using picture storybook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 Lee, O. D. (1984). Literature that protects children. Seoul: Baeksanseodang.
  • Lee, Y. J. (2000). Children’s rhythm song-learning activity affects language acknowledged ability development of autistic children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Gyeonggi.
  • Lee, Y. J. (2023). The effect of emotion vocabulary based shared book reading group intervention on expression of emotion vocabulary and mean length of utterance in word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Lim, E. H. (2006). The effects of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language abi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0(2), 33-52. uci:G704-000814.2006.10.2.007
  •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pp. 3-34). New York: Basic Books.
  • Nam-goong, J. (2010). Comprehension of emotional words in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2). The frequency of modern Korean words. Retrieved from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research/report/view.do?organizationSeq=657
  • Oh, M. (2007). The effect of integrated comprehention of emotional words in teaching & learning method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o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Master’s thesis). Pai Chai University, Daejeon.
  • Pellegrini, A. D. (1985). Social-cognitive aspects of children’s play: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activity cent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6(2-3), 129–140. [https://doi.org/10.1016/0193-3973(85)90055-3]
  • Rice, M. L., Buhr, J. C., & Nemeth, M. (1990). Fast mapping word-learning abilities of language-delayed preschool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5(1), 33-42. [https://doi.org/10.1044/jshd.5501.33]
  • Saarni, C. (1999).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competen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참 고 문 헌

  • 강문희, 이혜상 (1997). 아동 문학 교육. 서울: 학지사.
  • 강세희 (2014). 생활동화를 활용한 정서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곽혜정 (2009). 동화 장르론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국립국어원 (2002). 현대국어 사용빈도 조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research/report/view.do?organizationSeq=657
  • 권남희 (2019). 동화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지적장애 학생의 감정어휘습득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리리 (2006). 검정 연필 선생님. 파주: 창비.
  •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김정규, 정남미 (1997). 문화적 접근의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 5-27.
  • 김정현 (2007). 한국어 감정형용사의 유의어 교육 연구: 고빈도 감정 어휘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중미 (2002). 내 동생 아영이. 서울: 창작과 비평사.
  • 김화수, 안수연 (2017). 경도지적장애 청소년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학생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마음읽기 능력, 또래인기도의 관계. 지적장애연구, 19(4), 229-248.
  • 김화수, 양연주, 이지우, 장은영 (2019). 지적장애학생의 매체에 따른 감정어휘 표현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3), 361-384.
  • 김화수, 이지우, 엄윤지, 최선영 (2019). 지적장애 성인의 상황에 따른 감정 표현 어휘다양도와 공감능력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연구, 21(3), 75-102.
  • 김화수, 최예슬, 이근용 (2015).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에 나타난 주제 운용 능력. 지적장애연구, 17(2), 415-432.
  • 남궁정 (2010).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이해력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어린이도서연구회 (2023). 어린이도서연구회 2023 추천목록. https://www.childbook.org/book/recommend_list.html
  • 오미진 (2007). 전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영재 (2000). 율동동요학습활동이 자폐성 장애아의 언어인지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오덕 (1984).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서울: 백산서당.
  • 이유진 (2023). 정서어휘에 기반한 상호작용적 책읽기 그룹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정서어휘 표현능력 및 평균낱말길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진희 (2011). 그림 동화책 활용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정서지능과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임석재 (2011). 다시 읽는 임석재 옛이야기 1. 서울: 한림출판사.
  • 임은화 (2006). 이야기책을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0(2), 33-52.
  • 최신주 (2003). 동화를 활용한 정서 상태 파악훈련이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마음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하영숙 (2011). 그림책 읽기 활동 후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연희 (2007). 공예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ㆍ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유라 (2011). 아동ㆍ청소년의 정서조절 동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실천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황이재, 홍순옥, 안영혜 (2014). 환상동화를 통한 그림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267-292.

Appendix

Emotional comprehension assessment examples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assess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list examples

Figure 1.

Figure 1.
Emotional comprehension by fairy tale type

Figure 2.

Figure 2.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Figure 3.

Figure 3.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Table 1.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Category n %
Gender Male 25 75.76
Female 8 24.24
Chronological age 19 12 36.36
20 8 24.24
21 8 24.24
22~24 5 15.15
Language age 10 12 36.36
11 6 33.33
12 over 15 45.45
Total 33 100.00

Table 2.

Emotional comprehen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Type M SD N F p Bonferroni
post-hoc
Note. a=folktale; b=real-life; c=fantasy.
***p<.001
Folktale 5.60 1.36 33 32.098 .000*** a≠b≠c
Real-life 6.51 .87
Fantasy 4.72 1.46

Table 3.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Type M SD N F p Bonferroni
post-hoc
Note. a=folktale; b=real-life; c=fantasy.
**p<.01
Folktale 9.03 3.87 33 7.478 .001** c≠a, b
Real-life 9.75 2.90
Fantasy 7.27 3.36

Table 4.

Emotion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y fairy tale type results

Folktale Real-life Fantasy
M SD M SD M SD
Emotional comprehension 5.96 .98 6.66 .59 4.90 1.35
Emotional expression 1.68 .62 3.10 1.03 1.95 .86

Appendix 1.

Emotional comprehension assessment examples


영욱이가 아영이를 억지로 잡아끌었습니다.
그러자 아영이가 영욱이의 학교 책상을 세게 두드렸습니다.
영욱이는 아영이의 뺨을 때렸습니다.

 
내가 영욱이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고르세요. (     )
 
① 아영이 보고 욕심냈구나.
② 아영이 보고 신경질 났구나.
③ 아영이 보고 기뻤구나.
④ 아영이 보고 편안했구나.

Appendix 2.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assess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list examples


영욱이가 아영이에게 물었습니다.
“우리 놀러 갈래? 공원에 가도 되고. 벚꽃도 폈을걸.”
아영이는 공원이라는 말에 반가워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아영이는 지금 어떤 기분인 것 같나요?
어울리는 단어를 아래의 선택지에서 골라 번호를 전부 적어주세요.
 
 


① 즐겁다 ④ 속상하다 ⑦ 고맙다 ⑩ 행복하다 ⑬ 서럽다 ⑯ 울적하다 ⑲ 분노하다
② 지겹다 ⑤ 불안하다 ⑧ 꿈꾸다 ⑪ 짜증나다 ⑭ 원하다 ⑰ 재미있다 ⑳ 우울하다
③ 무섭다 ⑥ 바라다 ⑨ 안심하다 ⑫ 초조하다 ⑮ 밉다 ⑱ 불편하다 ㉑ 상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