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 전공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준비행동,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opyright 2022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이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에 대하여 알아보고 각 변수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여러 요인의 관계와 더불어 각 요인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언어치료 전공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알아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는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8문항), 학습동기(8문항), 진로준비행동(8문항), 전공만족도(5문항)를 조사하였다. 각 요인별 수준,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활적응 수준에서는 수업 참여 여부가 가장 높은 항목(4.136)으로 조사되었으며, 학습동기 수준에서는 전공관련 학습 중요도(4.059)가 가장 높았다. 진로준비행동 수준에서는 주변사람들과 진로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4.017)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모든 변수에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유용한 결과로써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은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이 전공만족도와 상관성이 높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고 재학 중 학습동기를 높이고 졸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진로준비행동을 도움으로써 언어치료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university life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therapy and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study investigated 169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with 29 questions, which included those about university life adaptation (8 questions), learning motivation (8 question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8 questions), and major satisfaction (5 questions). The level of each fact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ere examined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participation in classes was the highest (4.136), while at the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major-related learning importance was the highest (4.059).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talking about career paths with people around them showed the highest score (4.017). Th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peech-language therapy student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and influence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is study, it will help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speech-language therapy major by helping new students adapt to college life, increasing motivation for learning while in school, and help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reparing for graduation.
Keywords:
University life adaptation, learning motiv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speech-language therapy키워드: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언어치료Ⅰ. 서 론
대학 진학은 많은 새로운 환경에 접하는 시기로 학생들이 이전에 겪었던 것 중 가장 큰 사회적ㆍ심리적 적응이 필요하다(Baek, 2001). 대학의 전공은 진로결정의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학에서의 전공학습은 전문적 소양을 갖추고 직업 잠재역량을 키우기 위한 기반이다(Kang, 2015). 하지만 우리나라의 상당 수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교의 서열이나 합격 위주의 대학에 진학함으로 인하여 전공에 대한 불만과 대학 생활 부적응으로 인한 중도 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많은 대학생들이 졸업을 앞두고 되면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며, 입학 당시 막연하게 생각하였던 전공과 관계한 진로 방향이나 진로 선택 과정이 현실과 차이가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이 같은 학생 본인의 적성과 대학 전공과의 불일치는 전공만족도를 낮아지게 하며, 이는 학습에 대한 흥미 상실, 성적저하, 학교에서의 사회적 고립으로 인한 소외감 유발 등의 결과가 초래되어(Chang et al., 1986) 향후 개인의 진로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전공만족도는 전공과 관련된 교육 학습, 학과에서 경험하는 체험활동, 교수 및 선ㆍ후배 간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는 만족을 의미한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전공에 대하여 생각하는 주관적인 경험을 의미하며 인지된 복합적 감정들이자 개인이 속한 전공 내에서의 행동은 개인과 전공과 관계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Lee, 2013).
전공만족도가 높고 전공을 선호하며 본인의 적성과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대학생들은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보이며 전공 몰입도가 높고, 학교나 학과생활의 적응을 잘하며, 진로 고민이나 갈등이 적어 중도 이탈이 낮다. 또한 진로에 대한 확신이 있으므로 스스로를 통제하고 계획하는 훨씬 능동적이며, 진로 및 취업에서 요구하는 조건이나 역량을 갖추기 위하여 적극적이고 이에 대한 성취도도 높다(Kang, 2018).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지속 및 대학생활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이 학업동기를 고취시키고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Kim, 2010; Kim & Kang, 2016; Oh et al., 2001).
언어치료학과 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과 비교할 때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실습 교과목의 비중이 크고(Lee, 2016), 또한 이미 진로의 방향이 결정된다는 사고로 인하여 진로에 대한 만족과 전공 적응에 애로를 겪기도 한다. 전공만족에 대한 문제는 전공 교육에 몰입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언어치료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언어치료 교육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im과 Ha(2000)는 전공만족도는 전공에 대하여 학생이 느끼는 만족의 범위가 넓고 종합적인 개념이므로 단일 요인이 아닌 다차원요인으로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전공만족도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Jang, 2012; Song, 2014), 전공만족도와 학습동기(Cho & Kim, 2019; Lim, 2014),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Cho et al., 2020; Park & Cho, 2019)과 같이 각각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가 대다수이며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을 함께 다차원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과 같은 다양한 차원의 변인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언어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중 전공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소속대학, 이름, 나이 등의 개인정보를 담고 있지 않으며 동기와 진로 등에 대한 질문으로만 구성하였다. 4개 대학의 학생에게 Google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2년 6월 7일~15일까지 진행하였다. 총 169명의 응답이 수집되어 분석하였다.
2. 검사 도구
연구대상자들의 대학생활적응 척도는 Baek(2001)이 연구에 사용한 설문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은 개인-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일반적 적응, 학업적 적응을 포함하는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다(5점)’부터 ‘매우 아니다(1점)’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52로 나타났다.
Tang(2018)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문항을 사용하였다. 학습동기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일련의 정신적, 신체적 활동들이 유지되는 과정’ 이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에 근거하여 Tang(2018)이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으로 구성한 8문항의 설문을 활용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다(5점)’부터 ‘매우 아니다(1점)’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동기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782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 설문은 Na(2015)가 작업치료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직업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는 행동, 직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을 구입하는 행위 등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다(5점)’부터 ‘매우 아니다(1점)’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66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Jeoun(2018)의 전공만족도에 대한 연구에서 전공 교과에 대한만족도 설문을 재구성하여 5문항으로 조사하였다. 대학생의 만족도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써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Cronbach’s α는 .921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결과 처리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으로 제시하였고 각 설문의 문항별 평균을 제시하였다.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각 설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for window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본 연구의 대상으로 여성이 149명(88.2%)으로 많았으며 학년은 3학년 68명(40.2%), 4학년 57명(33.7%) 순이었다. 학과 선택 동기는 ‘흥미와 적성에 맞아서’가 46명(27.2%)으로 가장 많았다. 졸업 후 희망진로는 ‘발달 및 언어치료센터’가 90명(53.5%)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로부터 취득한 일반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Table 1).
2.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 수준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조사에서 ‘지각 또는 결석을 하지 않고 수업에 충실하게 참여하고 있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4.136) ‘학과에서 제시하는 학업의 비전은 학생들에게 분명하게 전달되며, 학생들은 이를 이해하고 있다’가 그다음으로 높았다(4.047). 전체 항목의 평균은 3.764로 조사되었다.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3. 대상자의 학습동기 수준
학습동기에 대한 설문에서 ‘나는 대학교에서 전공과 관련한 학습을 한다는 것은 중요하다’가 4.059로 ‘그렇다’ 이상의 응답을 보였다. ‘나는 다른 것을 잊을 정도로 대학교 전공 공부에 몰입 한다’와 ‘대학교 전공 인기도를 고려하여 선택했다’는 ‘보통이다’ 이하의 응답을 보였다. 전체 문항의 평균은 3.299로 조사되었다.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4.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 수준
진로준비행동에서 ‘친구들, 부모님, 교수님과 진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다(4.017). 그다음으로는 ‘나는 나의 적성과 흥미, 그리고 성격 등을 명확히 알기 위해서 검사를 받아 본 적이 있다’와 ‘나는 지난 몇 개월 동안 관심 진로 분야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탐색해 보았다’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전체 평균은 3.554로 조사되었다.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5.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수준
전공만족도에서 ‘전공도서는 배울만한 가치가 있다’, ‘나는 나의 전공을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스럽게 말 한다’, ‘나는 나의 전공에 대해 만족 한다’ 순으로 4점 이상 높게 조사되었다. 전체 평균이 4.049로 조사되었다. 결과는 Table 5에 제시하였다.
6.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도,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Table 6). 모든 변수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전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대학생활적응(r=.649), 학습동기(r=.604), 진로준비행동(r=.569)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7.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Durbin-Watson 계수가 2.190로 자동 상관을 무시해도 되는 결과가 나왔다. 공선성 통계에서 공차한계(tolerance: T) 0.1 이하와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10 이상의 항목이 나타나지 않아서 회귀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R2은 회귀선의 기여율로써 1에 가까울수록 유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대학생활적응이 전공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Table 7).
Ⅳ. 논의 및 결론
대학 생활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 독립적 생활을 시작하며, 문제 상황을 학생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시기이다. 또한 자율적인 선택과 이에 대한 책임을 지며 전문적 전공 학문과 같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환경을 경험하는 시기(Park & Park, 2017)로 학생들은 혼돈을 경험하기도 하며 휴학과 학업중단을 하기도 한다. 이에 대학은 대학생이 대학 환경에 잘 적응하고 성공적으로 학업적 성취를 하며 진로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 다각적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3.76점, 학습동기는 3.29점, 진로준비행동은 3.55점이었고, 전공만족도는 4.04점이었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작업 치료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Na, 2015)에서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3.01점, 학습동기는 3.38점이었다. 간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Lim, 2014) 학습동기는 3.14점, 진로준비행동은 3.38점, 전공만족도는 3.50점이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비교할 때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는 다른 보건계열 전공 학생들과 유사하며 전공만족도는 다소 높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전공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생활 적응 정도가 전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Chung & Lee, 2022),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높다는 연구(Lee & Byun, 2012), 진로준비행동은 전공만족도와 연관된다는 연구(Park, 2018)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 정도,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고,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하고 학습동기가 높으며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볼 때, 언어치료를 선택한 학생들이 언어재활사 국가고시와 진로에 대한 불안감, 많은 학습량과 임상 실습량의 어려움 등에도 불구하고 중도탈락과 같은 부적응 없이 대학생활을 하며 높은 전공만족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대학 입학 이후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학생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학생들이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저학년 때부터 학습동기를 파악하고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전공학습에 대한 관심을 높일 필요성이 있으며, 언어치료 직업 세계를 면밀히 살펴보고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진로준비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세 번째,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적응 이였으며, 다음으로 학습동기, 진로준비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Cho, 2019)에서 전공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적응이라고 한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대학생활적응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면 진로준비행동으로 연결된다는 연구(Lee, 2019)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인 성취와 대인관계 형성과 같이 대학생활에서 요구되는 과제에 적절한 반응을 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Na, 2015).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지원이 신입생 시기에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Kang et al., 2016). 선행연구에서도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에게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Kim et al., 2015).
더불어 이러한 결과는 향후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의 중도 탈락률 예방측면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현재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대면 수업 형태와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수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코로나가 만연했던 시기에 대학생활을 시작한 2020년 학번의 대학생들은 학과에서 교류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대학 수업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학과나 학교적응 프로그램이 전혀 시행되지 않은 환경에서 학교에 대한 만족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형편이다(Park & Ha, 2021). 이러한 현상은 대학에 입학하여 전공에 대한 전문적인 전공 지식 습득과 진로에 대한 체험도 중요하지만, 대학생들은 우선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 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 학습동기, 진로준비 활동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의 확대와 다변화를 통한 일반화가 가능하도록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더 많은 변수들이 확인되어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Reference
- Baek, U. H. (2001).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n loneliness level of college freshmen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 Chang, D. W., Park, J. H., Na, D. J., & Rhee, Y. S. (1986). A preliminary study of a major-adjust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aptitude discrepancy. Student Life Research, 14, 1109-1154.
- Cho, H. J., Seo, B. R., & Lee, H. M. (2020).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rela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10(3), 1-21. [https://doi.org/10.35273/jec.2020.10.3.001]
- Cho, Y. K. (2019). Review about factors affecting student adjustment of college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8(1), 49-60.
- Cho, Y. M., & Kim, J. K. (2019). The influence of sense of humor by instructors and learning motivation upon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tents, 19(1), 350-358.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350]
- Chung, J. Y., & Lee, H. K. (2022).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with occupational therap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30(1), 15-24. [https://doi.org/10.14519/kjot.2022.30.1.02]
- Jang, K. W. (2012).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compromise patterns, career maturity, satisfaction in major, and college adjustmen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Chungbuk.
- Jeoun, H. K. (2018). Analysis of career decision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major: Focused on major satisfac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self-efficacy (Master’s thesis). Nazarene University, Cheonan.
- Kang, J. W. (2018). The effect of academic interest on college students’ majo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their major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7), 299-315. [https://doi.org/10.21184/jkeia.2018.10.12.7.299]
- Kang, M. S. (2015).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ness and major satisfaction up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Chungnam. [https://doi.org/10.15284/kjhd.2015.22.4.21]
- Kang, S. B., Kim, K. H., & Kim, J. Y. (2016).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n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freshmen.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6(4), 143-162.
- Kim, K. H., & Ha, H. S. (2000).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 7-20. uci(KEPA):I410-ECN-0102-2014-300-001738894
- Kim, K. H., & Kang, S. B. (2016).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for university freshme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253-293.
- Kim, S. Y. (2010). The development of scales on rating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and the analysis of technical qual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3(3), 1-29. uci:G704-001285.2010.23.3.005
- Kim, Y. J., Kim, Y. Y., & Lee, S. M. (2015).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major, career identity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ren’s english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9), 39-47. [https://doi.org/10.14400/JDC.2015.13.9.39]
- Lee, J. M. (201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36(3), 1-14.
- Lee, S. A. (2016).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human-centered supervision program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ability enhancement (Doctoral dissertation). Myoungji University, Seoul.
- Lee, W., & Byun, G. I. (2012). Effect of education service affecting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cybe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3(1), 1-25.
- Lee, Y. J. (2013). Half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gret choosing a major. Retrieved from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on=123544
- Lim, J. H. (2014).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nursing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in maj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4), 2273-2284. uci:G704-000930.2014.16.4.027
- Na, J. I. (2015). The effect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in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 Oh, Y. J., Park, H. M., & Son, J. J. (2001).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n empirical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19(3), 207-231.
- Park, J. A., & Ha, S. H. (2021). Effe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college life adjustment. Journal of Human Ecology, 25(3), 43-52. [https://doi.org/10.36357/johe.2021.25.3.43]
- Park, J. Y., & Cho, K. D.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2(1), 61-76. [https://doi.org/10.32341/JCER.2019.03.32.1.61]
- Park, J. Y., & Park, S. M. (2017). Influence of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velop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49(2), 180-186. [https://doi.org/10.15324/kjcls.2017.49.2.180]
- Park, S. R. (2018).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resilienc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 Song, Y. J. (2014).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 Tang, N. H.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professional value on the behavior of future occup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han University, Yeongam.
참 고 문 헌
- 강명숙 (2015). 대학생의 자기 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강성배, 김광현, 김지용 (2016).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6(4), 143-162.
- 강정원 (2018).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7), 299-315.
-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 김광현, 강성배 (201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10(3), 253-293.
- 김수연 (2010). 대학생의 학업지속 경향성 척도 개발과 양호도 검증. 진로교육연구, 23(3), 1-29.
- 김윤주, 김윤영, 이송미 (2015). 아동영어교육전공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3(9), 39-47.
- 나자인 (2015). 작업치료전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준비행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당영화 (2018).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세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상란 (2018).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 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정아, 하상희 (2021).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5(3), 43-52.
- 박정연, 박순미 (2017). 보건ㆍ복지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49(2), 180-186.
- 박지연, 조경덕 (2019).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2(1), 61-76.
- 백운호 (2001). 고독감 수준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송윤정 (2014).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오영재, 박행모, 손준종 (2001). 대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대학조직 내 제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3), 207-232.
- 이선아 (2016). 언어재활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인간 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용재 (2013). 대학생 절반 ‘전공 선택 후회 한다’.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on=123544
- 이욱, 변광인 (2012). 사이버대학생의 교육서비스가 학습동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사회문화, 3(1), 1-25.
- 이준모 (2019). 현대무용 전공생의 전공만족,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36(3), 1-14.
- 임정혜 (2014).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자아탄력성과 전공만족도에 관한 경로모형.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4), 2273-2284.
- 장광원 (2012). 진로의사결정 타협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대학생활적응도의 차이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대운, 박진현, 나동진, 이영식 (1986).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논집, 14, 1109-1154.
- 전형근 (2018). 특수체육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사 결정요인 분석: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행동. 진로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정재엽, 이혜경 (2022).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0(1), 15-24.
- 조영권 (2019).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관련 요인에 관한 고찰. 보건의료과학연구, 8(1), 49-60.
- 조영미, 김중경 (2019).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자의 유머감각과 학습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1), 350-358.
- 조현정, 서보람, 이현민 (2020).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취업진로연구, 10(3),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