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ORIGINAL ARTICLE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 Vol. 32, No. 4, pp.23-30
ISSN: 1226-587X (Print) 2671-7158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3
Received 15 Sep 2023 Revised 05 Oct 2023 Accepted 31 Oct 2023
DOI: https://doi.org/10.15724/jslhd.2023.32.4.023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한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심재진1 ; 박현1, *
1상지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The Effect of Sight Word and Phonological Rule Programs on the Reading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Jae Jin Sim1 ; Hyun Park1, *
1Dept. of Speech-Language Therapy, Sangj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Hyun Park, PhD E-mail : ph79@sangji.ac.kr

Copyright 2023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

목적: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읽기 어려움은 학업적 더 나아가 사회적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이에 대한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 일견단어는 아동들이 자동적으로 발음과 의미를 인식하는 단어를 의미하며 한 번에 정보에서 기억까지 진행되는 단어들로 정의된다. 일견단어 지식은 초기 읽기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명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진행하였다.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모든 단어는 연음화, 경음화, 격음화 음운규칙의 영향을 받도록 구성하였으며 각 음운규칙마다 목표 음소를 4개로 하여 총 12세트의 단어로 구성하였다. 각 단어는 모두 시각적 자료와 함께 아동에게 제시되었다.

결과: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모두 단어 재인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문화 아동에게 적용한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은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이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재ㆍ교구 등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Purpose:

Reading difficul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y lead to academic and social difficulties. Therefore, a support system is needed. Sight words are those words that childre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and are defined as words that progress from information to memory simultaneously. Sight word knowledge is an essential element in developing early read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ight word and phonological rule program on the reading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multicultural children living in Gangwon-do.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basic 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ight words used in the program were organized to be affected by the phonological rules of lenition, fortition, and aspirating, and each phonological rule consisted of four target phonemes, consisting of a total of 12 sets of words. Each word was presented to the child with visual material.

Results:

After intervention with the sight word and phonological rule program, all three multicultural children were found to have improved word recognition ability. In addition, three multicultural children were found to have improved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ight word and phonological rule program applied to multicultural children seemingl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bility, confirm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rogram could help multicultural children’s reading ability. The authors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teaching aid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Keywords:

Sight word, phonological rules, multicultural children, reading ability

키워드:

일견단어, 음운규칙, 다문화 아동, 읽기 능력

Ⅰ. 서론

2020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면, 국내의 다문화 가구 수는 2018년 334,856명, 2019년 353,803명으로 일 년 사이에 1만 8천 명이 증가하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연령대 분포를 살펴보면 학령기에 해당하는 9~11세의 수가 45.8%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하였으며 초등학교의 다문화 학생 수는 약 12만명으로 2014년부터 매년 1만 명 이상 증가하여 전체 학생 대비 2.2%를 차지하였다(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9). 이러한 흐름을 볼 때 시간이 지날수록 초등학교 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수는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문화 가정의 아동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상당수는 어머니의 서툰 자극 입력으로 인하여 언어발달이 일반 가정의 아동들에 비하여 다소 느린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 Lee, 2010). 언어발달이 지연된 아동들은 읽기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는데, 이는 언어발달과 읽기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Lee & Kim, 2003) 읽기는 언어의 음운, 의미, 구문 및 화용적 측면의 영향을 모두 받기(Catts & Kamhi, 2005) 때문이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능력은 일반 가정 아동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ae & Kim, 2010) 읽기발달과 밀접한 요인 중 하나인 형태소 인식에서도 일반 가정 아동의 비하여 그 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Kim & Jung, 2015). 또한 Woo 등(2017)은 학령기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교연구에서 다문화 가정의 아동은 일반 가정의 아동들에 비하여 읽기 유창성이 현저하게 낮다고 하였으며, Kwon과 Seok(2009)은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의 음운 처리 능력이 비 다문화 가정 아동들보다 낮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읽기는 국내ㆍ외 수많은 선행연구의 결과 학령기 아동의 언어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언어발달 영역으로 언급되고 있다. High 등(2000)은 초등학교 아동의 초기 교육 과정은 주로 읽기를 통한 학습과 정보 습득이며, 학령기 아동에게서 읽기는 사회생활과 학습을 위한 기능적이고 기초적인 기술로써 교과 이해와 학습활동의 주요 수단이 된다고 말하였다. Kim 등(2003)은 학업을 위한 주요 기초 능력으로 특히 읽기 능력은 학습의 기초가 되고 학습뿐 아니라,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 생활 수단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읽기 어려움은 학업적 더 나아가 사회적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학업적 기초가 되는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어린 아동들은 읽기를 복잡하고 어려운 과업이라고 인식한다. 읽기 방법에는 해독과 일견 단어가 있으며 해독은 문자와 소리의 관계를 가르치는 음철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단어의 철자 음을 소리 내거나 혼합하여 단어를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한다(Rubin & Optiz, 2007). 반면 일견단어 학습은 단어 해독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아동들이 자동적으로 정확하고 빠르게 단어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견단어 지식은 초기 읽기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Ehri, 2005; Wagner, 2008). 일견단어는 아동들이 자동적으로 발음과 의미를 인식하는 단어를 의미하며 한 번에 정보에서 기억까지 진행되는 단어들로 정의된다(Vaughn & Linan-Thompson, 2004). Song(2005)은 일견단어를 넓은 의미로, 눈에 아주 익숙해져 있어 단어가 학생의 머릿속에 있는 단어 저장 창고(vocabulary word database bank)에 저장이 잘 되어 있는 단어들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보기만 해도 발음과 뜻이 생각나는 단어로, 문장 가운데 아주 자주, 많이 사용되는 단어를 의미한다. 일견단어는 흔히 고빈도 어휘(high frequency words)와 혼용되어 사용되는데, 고빈도 어휘와 일견단어의 차이점은 일견단어란 소리와 글자 관계에서 규칙성이 거의 없는 단어로 즉 해독(decoding)없이, 바로 인식되는 단어를 의미한다. 이와 다르게 고빈도 어휘는 읽기와 쓰기에서 매우 자주 나타나는 단어들을 의미하며 일견단어와 겹치는 경우가 많다. Browder와 Lally(1991)는 일견단어를 고빈도 단어와 기억 속에서 떠올려서 읽을 수 있는 단어를 모두 포함하는 어휘 목록으로 음성 분석(phonetic analysis)이나 매개(mediation)없이 인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일견단어를 많이 아는 아동은 의미에 더 집중하며 글을 쉽게 읽을 수 있고 새로운 단어를 더 많이 알 수 있다(Johnston, 2000). 또한 어떠한 단어의 발음과 철자가 기억 속에 단단하게 저장되어 재인할 때 특별한 노력이 요구되지 않으면 그 단어는 학습자에게 일견단어로 저장된 것이며 이는 읽기 속도를 높일 수 있다(Ehri, 2005).

더불어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음운규칙이 적용된 한국의 발음에 자연스럽게 노출되고, 습득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제약이 있다. Pae와 Kim(2010)은 1~3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일반 가정의 아동들에 비하여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자소ㆍ음소 불일치형 낱말을 재인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Lee(2012)는 1~2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운규칙(구개음화, 된소리 규칙, 연음화, 비음화, 유음화, /ㅎ/축약)이 적용된 낱말재인 능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다문화 가정의 아동은 의미ㆍ무의미 단어재인 능력이 일반 가정 아동보다 낮았고, 음운규칙이 적용된 유의미 단어의 재인 능력 또한 모두 낮다고 하였다. 음운규칙을 적용하는 능력은 읽기 정확도와 읽기 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며 철자쓰기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운규칙 적용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운규칙이 적용된 일견단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단어 재인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강원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명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부모로부터 인지, 감각적, 정서적, 신경학적, 신체적 결함이 없다고 보고된 다문화 아동 (2)일반 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1학년 다문화 아동 (3)사전에 언어치료 경험이 없는 다문화 아동 (4)한국어 읽기검사(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Pae et al., 2015) 시 학년 지수 1학년 평균에 도달하지 않은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N=3)

2. 실험설계 및 절차

본 연구는 2022년 9월 13일부터 2022년 12월 27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한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단일 대상 연구 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1) 기초선

기초선 단계는 대상 아동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로 한국어읽기 검사(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Pae et al., 2015)의 핵심검사의 (1)자소ㆍ음소 불일치형 의미낱말 (2)자소ㆍ음소 불일치형 무의미 낱말 중 12개를 무작위 선택하여 해독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아동의 반응에 대하여 어떠한 피드백도 하지 않았으며, 평가 기준에 따라 반응의 정오만 체크하였다.

2) 중재

기초선이 안정되고 난 후, 총 10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는 복습, 도입, 본 활동,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의 매 회기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2와 같다.

Intervention session contents

3) 재기초선

재기초선 단계는 중재 종료 2주 후 총 3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은 기초선 평가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3. 실험도구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은 Keum과 Heo(2020)를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시각적 자료와 함께 연구대상자에게 제시하였다.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모든 단어는 연음화, 경음화, 격음화 음운규칙의 영향을 받도록 구성하였으며 각 음운규칙마다 목표 음소를 4개로 하여 총 12세트의 단어로 구성하였다(Appendix 1).

또한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내 사용된 모든 단어는 그림 자료와 함께 아동에게 제시되어 시각적 단서를 통하여 아동이 단어의 의미를 추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Figure 1).

Figure 1.

Picture and letter cards

Contents of intervention fidelitys

4. 중재 충실도

본 연구에서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의 표와 같은 평가 서식을 이용하여 중재 충실도를 측정하였다.

중재 충실도 관찰자는 언어재활사 3명이 참여하였으며 위 표를 기초로 하여 전체 프로그램 회기 중에서 임의로 25%를 표집하여 측정하였다. 중재 충실도의 결과는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5. 관찰자 간 신뢰도

관찰자 간 신뢰도 측정을 위하여 보조교사 한 명이 참여하였다. 보조교사는 연구자와 함께 대상 아동의 프로그램 수행 장면을 녹화한 후 정ㆍ오반응 기준에 따라 관찰자 간 신뢰도 측정을 하였다. 전체 프로그램 회기의 50%를 임의적으로 표집하여 관찰자 간 신뢰도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관찰자 간 신뢰도는 96.5%였다.

6. 사회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 측정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두 명과 언어재활사 두 명에게 사회적 타당도 설문지를 배부하고 중재 전반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였다. 설문지는 중재 목표의 중요성, 중재의 효과성, 중재의 용이성, 중재의 의미성과 관련된 10가지 문항에 5점 척도로 체크하도록 구성하였다. 사회적 타당도는 평균 4.8점이었다.

7. 분석방법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의 기초선 A와 재기초선 A’ 기간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매 회기 해독 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재기 B는 매 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단어 재인 능력을 평가하였다. 기초선 A, 중재기 B, 재기초선 A’의 측정값은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하였다. 읽기 이해 및 유창성 능력은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사전ㆍ사후로 평가하여 그 측정값을 비교ㆍ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다문화 아동의 단어 재인 능력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의 매 회기 마다 다문화 아동들의 단어 재인 능력을 분석하였다. Figure 2에서 프로그램 회기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3명 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에서는 단어 재인 능력의 변화가 없었으나 프로그램 중재 이후 단어 재인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Word recognition

Figure 2.

Word recognition

2. 다문화 아동의 읽기 이해 및 유창성 능력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10회기를 진행한 후, 3명의 아동 중 두 명의 아동의 읽기 이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 2는 읽기 이해 능력의 변화가 없었다. 아동 1은 읽기 이해 능력이 사전 검사 시 0점이었으며 사후 검사는 4점으로, 아동 3은 사전 검사 시 0점에서 사후 검사 1점으로 향상되었다(Figure 3).

Figure 3.

Reading comprehension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10회기를 진행한 후, 3명의 아동 중 두 명의 아동의 읽기 유창성 능력을 살펴본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읽기 유창성 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아동 1은 사전 검사 시 읽기 유창성 점수가 0점이었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11.3점으로 향상되었다. 아동 2는 사전 검사 시 읽기 유창성 점수가 1.7점이었으나 사후 검사 시 3.5점으로, 아동 3은 사전 검사는 .6점이었으나 사후 검사 시 7.3점으로 향상되었다(Figure 4).

Figure 4.

Oral reading fluency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3명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이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모두 단어 재인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재인 능력의 향상 정도는 대상 아동마다 상이하였으나 3명의 아동 모두 기초선 단계보다 중재 단계에서 수행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모두 읽기 유창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모두 읽기 이해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읽기 프로그램으로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하는 결과라 볼 수 있다. 실제 다문화 아동들은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거리의 건물 간판이나 표지판, 현수막 등에 적힌 단어를 읽었다는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견단어 훈련은 반복적인 노출을 통하여 단어의 시각적인 형태, 음(sound), 의미 등을 연합시키는 중재를 의미하며 일견단어 프로그램은 아동들에게 음운규칙을 기억하게 하여 읽기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Keum & Heo, 2020)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들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은 다음의 내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 3명의 다문화 아동들은 많은 단어를 한 눈에 알아 보고 이해하도록 돕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 중재 후 읽기의 자동화(automaticity)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단어 읽기의 자동화는 아동들이 단어 해독보다는 의미 이해에 집중하게 한다(Park, 2016). 읽기 유창성이 부족한 아동들은 단어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게 되고 단어를 읽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하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Park, 2011). 이러한 결과는 Park(2016)의 일견단어가 초등학생의 문식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음운규칙을 고려하여 일견단어 리스트를 마련한 것이 다문화 아동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한글은 자소와 음소가 규칙적으로 대응하는 표층표기체계로 이루어지며 의미 및 무의미 단어의 해독 오류가 낮은 편이다. 그러나 읽기는 자소ㆍ음소의 대응에 대한 음운인식 능력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한글의 또 다른 특징인 음운변동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음운변동은 단어 내부에서 서로 영향을 주어 말소리가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자소ㆍ음소의 음운인식 학습을 통하여 낱말 해독이 가능하더라도 시각적으로 제시한 낱말과 말소리가 다르다면 음운 경로만으로 단어의 뜻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즉 단어를 적절히 해독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소ㆍ음소 대응 관련 음운인식을 하더라고 유창성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느껴지고, 내용의 이해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Kim(2010)은 음운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읽기 훈련은 한글의 음운변동 특성이 반영되는 단어의 읽기 훈련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3명의 다문화 아동들에게 일견단어로 제시된 단어들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되는 매우 친숙한 단어들이었으며 이러한 단어 선택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능력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친근한 단어를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학생들이 단어의 문자와 의미 및 발음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었으며 읽기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되어 단어 재인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의 결과(Jeon, 2012; Kim, 2016)와 일치한다.

넷째, 명시적 어휘학습 학습 방법으로 단어의 형태와 뜻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한 것이 다문화 아동의 단어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주요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우선 선정하여 미리 설계된 실험 방식에 따라 단어에 초점을 두고 반복적인 연습을 실시한 결과, 아동들은 단어를 보고 즉각적으로 단어의 발음과 의미를 연상할 수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는 3명의 아동이 참여하였으므로 중재의 효과를 일반화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문화 아동에게 적용한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은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이 프로그램이 다문화 아동의 읽기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와 폭넓은 범주의 연구 참여자와 생활연령 및 장애를 고려한 연구가 요구되며 실험 회기와 실험 기간을 좀 더 충분히 확보한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후속연구에서는 일견단어 음운규칙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재ㆍ교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가 요구된다.

References

  • Browder, D. M., & Lalli, J. S. (1991). Review of research on sight word instruction.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2(3), 203-228. [https://doi.org/10.1016/0891-4222(91)90008-G]
  • Catts, H. W., & Kamhi, A. G. (2005).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2nd ed). Boston: Allyn & Bacon.
  • Ehri, L. C. (2005). Development of sight word reading: Phases and findings. In M. J. Snowling, & C. Hulme (Eds.), The science of reading: A handbook (pp. 135–154). Newark: Blackwell Publishing.
  • High, P. C., LaGasse, L., Becker, S., Ahlgren, I., & Gardner, A. (2000). Literacy promotion in primary care pediatrics: Can we make a difference? Pediatrics, 105(Supplement_3), 927-934. [https://doi.org/10.1542/peds.105.S3.927]
  • Jeon, B. K. (2012). A study of primary English vocabulary teaching strategies using informational tex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 Johnston, F. R. (2000). Word learning in predictable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248-255. [https://doi.org/10.1037/0022-0663.92.2.248]
  • Keum, A. L., & Heo, S. D. (2020). The influence of decoding on preschool children with phonological rules training using words for each phonem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6(3), 241-258. [https://doi.org/10.31863/JSE.2020.12.36.3.241]
  • Kim, D. I., Lee, D. S., & Shin, J. H. (2003). Introduction to learning disabilities. Seoul: Hakjisa.
  • Kim, E. H., & Jung, K. H. (2015). Morphological awareness of 1st to 3rd grade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 319-330. uci:G704-000725.2015.20.2.018
  • Kim, M. L. (2016). The effects of the loanwords education program using a sight word approach on word recognition skills and interests toward learning English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 Kim, S. J. (2010). Syllable final consonant error patterns of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5(4), 549-560. uci:G704-000725.2010.15.4.004
  • Kim, W. S., & Lee, E. K. (2010). A study on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1(3), 209-226. uci:G704-001047.2010.11.3.004
  • Korean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2019). Elementary, secondary statistics: Multicultural students. Jinche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won, M. J., & Seok, D. I. (2009). The meta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8(4), 139-150. [https://doi.org/10.15724/jslhd.2009.18.4.009]
  • Lee, I. H., & Kim, D. I.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primary grad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4), 239-256. uci:G704-000199.2003.17.4.012
  • Lee, Y. R. (2012).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through reading word recognition for school 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Yong In University, Gyeonggi.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results announced. Seoul: Author.
  • Pae, S., & Kim, M. (2010). Language based reading abilities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5(2), 146-156. uci:G704-000725.2010.15.2.003
  • Pae, S. Y., Kim, M. B., Yoon, H. J., & Jang, S. M. (2015) Korean Language based Reading Assessment (KOLRA). Seoul: Hakjisa.
  • Park, M. H. (2016). Effects of sight words reading on elementary students’ English literacy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 Park, Y. Y. (2011). An analysis of early English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49, 201-225. uci:G704-000652.2011.49.001
  • Rubin, D., & Opitz, M. F. (2007). Diagnosis and improvement in reading instruction (5th ed.). Boston: Pearson.
  • Song, S. H. (2005). Do it like early English Reading Town. Seoul: Nexus.
  • Vaughn, S., & Linan Thompson, S. (2004). Research-based methods of reading instruction. Alexandria: ASCD.
  • Wagner, R. K. (2008). Learning to read: The importance of assessing phonological decoding skills and sight word knowledge. New York: Scholastic.
  • Woo, J. H., Kim, Y. M., & Shin, E. S. (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and relations of reading variables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8(4), 263-288. [https://doi.org/10.19049/JSPED.2017.18.4.11]

참 고 문 헌

  • 교육통계서비스 (2019). 중등통계: 다문화 학생.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 권미지, 석동일 (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메타언어 특성. 언어치료연구, 18(4), 139-150.
  • 금아름, 허승덕 (2020). 음소별 낱말을 이용한 음운규칙 중재가 학령전기 아동의 해독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36(3), 241-258.
  •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2003).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 김명랑 (2016). 일견어휘 지도법을 이용한 외래어 이해 프로그램이 경도장애 고등학생의 단어 인지력과 영어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수진 (2010). 기능적 조음ㆍ음운장애 아동의 종성 음운변동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15(4), 549-560.
  • 김은하, 정경희 (2015). 초등 1-3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 319-330.
  • 김화수, 이은경 (2010).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3), 209-226.
  • 박미화 (2016). 일견단어 읽기가 초등학생의 문식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영예 (2011). 초등학생들의 초기 영어 문해력 분석. 신영어영문학, 49, 201-225.
  • 배소영, 김미배 (2010).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언어청각장애연구, 15(2), 146-156.
  • 배소영, 김미배, 윤효진, 장승민 (2015). 한국어 읽기 검사. 서울: 학지사.
  • 송순호 (2005). 조기영어 리딩타운처럼 하라. 서울: 넥서스.
  • 여성가족부 (2019). 2018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여성가족부.
  • 우정한, 김영모, 신은선 (2017).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 특성 및 읽기 변인간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8(4), 263-288.
  • 이유림 (2012).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규칙이 적용된 낱말재인 능력.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일화, 김동일 (2003). 읽기 유창성과 독해력 수준과의 관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7(4), 239-256.
  • 전병규 (2012). 정보 텍스트를 활용한 초등 영어 어휘 지도 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ppendix

Sight word list

Figure 1.

Figure 1.
Picture and letter cards

Figure 2.

Figure 2.
Word recognition

Figure 3.

Figure 3.
Reading comprehension

Figure 4.

Figure 4.
Oral reading fluency

Table 1.

Participants’ information(N=3)

Participant 1 Participant 2 Participant 3
Gender Male Male Male
Age 6;11 7;03 6;09
Grade First year First year First year
Grade quotient < first grade average < first grade average < first grade average

Table 2.

Intervention session contents

Phase Contents Time
(minutes)
Review Review activities of learning words in the previous session 5
Introduction Identify words to learn in this session 10
Verifying the phonemes of each word
Understanding the Sound of each phoneme
Main activity Deciphering the target word using visual data 20
Define the meaning of the target word
Word decoding exercises
Giving voluntary feedback
Evaluation Conducting an intervention evaluation within the session (12 target words) 10
Announcement of the goals for the next meeting 5

Table 3.

Contents of intervention fidelitys

Component Contents
Intervention
design
Has the researcher specified specific intervention processes or methods such as the intervention session, order, time, etc. and prepared a manu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rbitration?
Did the researcher control external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arbitration, with the arbitration manual ensuring that all subjects receive the same arbitration?
Training of
providers
Has the researcher trained on interventions to ensure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delivery of interventions and allowed them to be monitored regularly during the study period?
Has the researcher continuously monitored to maintain the fidelity of the intervention so that the intervention provider’s intervention skills are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without deterioration or change after the initial intervention training?
Delivery of
intervention
Did the researcher provide any treatment other than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o differentiate the intervention?
Has the arbitration manual been observed to ensure that the active elements of the intervention are transmitted as intended by the researcher?
Receipt of
intervention
Did the study subjects fully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intervention during the intervent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arbitration, did the researcher examine whether the subject understands the information about the arbitration and whether there are any difficulties during the arbitration?
Enhancement
of treatment
skills
Did the researcher include ionization in the mediation process to find out whether the functions or cognitive strategies acquir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tudy subjects can be performed in daily life?
Did the researcher conduct direct observations, questionnaires, self-reports, and structured interviews to confirm the transfer of the intervention effect?

Table 4.

Word recognition

No. Baseline Intervention data Re
baseline
1 1 1 1 3 4 3 5 5 7 9 8 10 11 19 19 18
2 0 0 0 0 1 1 1 2 3 3 5 6 6 13 13 11
3 0 0 1 1 1 2 2 4 5 5 7 7 7 18 18 17

Appendix 1.

Sight word list

Lenition Fortition Aspiration
/ㅁㅂ/ /ㄴㄷ/ /ㄱ/ /ㄹ/ /ㄱㄷㅂ/ /ㅅㅈ/ /ㄷ/ /ㅂ/ /ㄱ/ /ㄷ/ /ㅂ/ /ㅈ/
1 감옥 군인 국어 걸음 늑대 국수 걷다 겁보 국화 낳다 굽혀 넣지
2 감염 단어 낙엽 길이 막대 국자 걷기 급식 넣고 좋다 급히 놓지
3 갑옷 민원 녹음 놀이 목발 낙지 굳다 답장 녹화 많다 눕혀 닿지
4 범인 문어 먹이 멀어 복도 박수 닫다 덥다 백합 맏형 업혀 많지
5 잠옷 믿음 목욕 불안 속도 숙제 닫기 밉다 백호 싫다 입학 싫지
6 참여 분유 복어 알아 식당 작동 묻다 접시 식혜 좋다 업혀 좋지
7 참외 전염 악어 절약 악기 책상 믿고 집게 착해 땋다 뽑혀 땋지
8 침입 한옥 직업 할인 탁구 탁자 싣다 집중 축하 쌓다 밟혀 쌓지